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에서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신장식 작가의 그림’상팔담에서 본 금강산’을 배경으로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 공동사진기자단
27일 첫 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앞으로 남북으로 오가며 ‘셔틀 남북정상회담’을 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문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던 남북정상회담 정례화가 이번 회담에서 합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는 이날 오전 두 정상 간 오간 대화의 내용을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브리핑에서 밝히면서 가시화됐다.
윤 수석의 설명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전통의장대의 의전을 받으며 환영행사장으로 향하던 중 김 위원장에게 “외국 사람들도 우리 전통의장대를 좋아한다. 그런데 오늘 보여드린 전통의장대는 약식이라 아쉽다”며 “청와대에 오시면 훨씬 좋은 장면을 보여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아, 그런가요. 대통령께서 초청해주시면 언제라도 청와대에 가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청와대로 초청하고, 김 위원장은 이를 수락하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은 방북 의지도 내비쳤다. 이번엔 평화의집 1층 환담장 앞에 걸린 백두산 장백폭포 등을 담은 그림을 소개할 때였다. 설명을 듣던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께서 백두산에 대해 나보다 더 잘 아시는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나는 백두산을 가본 적이 없다”면서 “그런데 중국을 통해 백두산을 가는 분들이 많더라. 나는 북측을 통해 꼭 백두산에 가보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은 한발 더 나아갔다.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이 오시면 솔직히 걱정스러운 것이 우리 교통이 불비해서 불편을 드릴 것 같다”면서도 “우리도 준비해서 대통령이 오시면 편히 모실 수 있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 역시 문 대통령의 방북을 환영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대목이다.
두 정상이 다시 만날 수 있다는 예측을 나은 장면은 또 있다. 오전 회담 마무리 발언에서 김 위원장은 “말씀드리자면 고저 비행기로 오시면 제일 편안하시니까, 우리 도로라는 게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불편하다”며 “제가 오늘 내려와 보니까 이제 오시면 이제 공항에서 영접 의식을 하고 이렇게 하면 잘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 정도는 또 남겨놓고 닥쳐서 논의하는 맛도 있어야죠”라며 웃었고, 이에 김 위원장도 “오늘 여기서 다음 계획까지 다 할 필요는 없지요”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영접 행사를 언급하고, 이를 “다음 계획”이라고 표현한 것을 볼 때 실제 이날 회담에 앞서 남북 양쪽이 어느정도 다음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공감대를 이룬 게 아니냐는 관측도 가능하다.
김 위원장은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정말 수시로 만나서 걸리는 문제를 풀어나가고 마음을 합치고 의지를 모아서 그런 의지를 갖고 나가면 우리가 잃어버린 11년이 아깝지 않게 우리가 좋게 나가지 않겠나 그런 생각도 하면서 정말 만감이 교차하는 속에서 한 200m를 걸어왔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