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 하이노넨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 한겨레 자료사진
올리 하이노넨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이 오는 23~25일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에 검증 전문가들이 초청되지 않은 데 대한 일각의 비판을 일축했다. 그는 핵실험장 관련 정보는 핵실험장 터널 폭파 이후에도 남아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이후 검증하면 될 문제라고 밝혔다.
하이노넨 전 사무차장은 15일 보도된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와 관련해 “북한이 비핵화를 이행하겠다는 ‘정치적 선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이노넨 사무차장은 북한이 처음으로 국제기구의 핵 사찰을 받아들인 1992년 국제원자력기구 사찰 단원에 포함된 뒤 1994년과 2002년, 2007년 영변 핵 시설 사찰 업무의 핵심적 역할을 맡았던 인물로, 북핵 사찰·검증의 최고전문가로 꼽힌다.
하이노넨 전 사무차장은 “핵 폐기는 단순히 핵실험장의 터널을 폭파하고 빌딩을 폐쇄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한다”면서 “따라서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면 북한이 이행하려는 비핵화가 무엇인지, 어느 지역에서 핵 폐기가 이뤄질 것인지 등이 결정하고, 이때 비핵화를 검증하기 위해 많은 기술적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고 말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이 전했다.
북한이 오는 23~25일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에 국제기구 전문가들을 초청하지 않은 데 대해서는 “이번 현장 검증 기간에 그 일(실질적 검증작업)을 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번에 중요한 것은 핵실험장의 터널을 폭파해 폐쇄하는 것이고, 핵실험장에 대한 정보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말했다. 하이노넨 전 사무차장은 “나중에 국제원자력기구가 검증하면 되는 것이고, 그것이 올바른 역할”이라면서 “국제기구가 북한과 어떤 합의문을 원한다면 사전에 북한이 어떤 정보를 제공하고 문서에 담을 것인지를 서로 동의해야 하는데, 아직은 이르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핵실험장의 폐쇄가 아니라 핵실험장의 해체가 돼야 하는데, 여기에는 (북한이) 핵실험장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한다는 동의가 전제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핵실험 관련 정확한 기록 △핵실험장 및 외부의 관련 시설·장비에 대한 보고 등 정보가 해당된다.
하이노넨 전 사무차장은 내달 12일 북-미 회담에서 “기술적인 내용이 논의되기보다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원칙적인 비핵화에 합의할 것”이라면서 “그 뒤 국제사회의 검증이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회담 뒤 조처와 관련해 △핵무기·핵물질 외부 반출 △핵 시설과 핵 프로그램 폐기 △핵 개발 계획 변경 △영변 핵 시설의 경수로와 재처리시설 폐기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