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무 국방장관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방부가 ‘4·27 판문점 선언’에서 남북 정상이 합의한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비무장지대(DMZ) 안 감시초소 병력과 장비를 시범적으로 철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국방부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현안보고에서 “‘비무장지대 평화지대화’의 실질적 조치로써 비무장지대 안 지피(GP·감시초소) 병력과 장비를 시범적으로 철수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긴 ‘남북 군사당국회담 향후 추진 방안’을 공개했다. 남북 정상은 4·27 판문점 선언에서 “비무장지대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 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국방부는 일단 감시초소를 시범적으로 철수한 뒤 역사 유적, 생태 조사 등과 연계해 향후 이들을 완전 철수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정전협정 정신에 기초해 경비인원을 축소하고, 화기조정, 자유왕래 등을 복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비무장지대 안 남북 감시초소에는 기관총 등 중화기가 반입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을 동시에 이행하기 위해 비무장지대 안 남·북·미 공동 유해 발굴을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필요하다면 북한 지역에서 이뤄지는 북-미 사이의 유해 발굴에 남쪽이 참여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북-미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한국전쟁 당시 전쟁포로, 실종자의 유골 발굴 및 이미 발굴된 유골 송환에 합의했으며, 지난 15~16일 후속 회담을 통해 북한 지역에서 유해 발굴 사업을 재개하기로 한 바 있다.
국방부는 또 판문점 선언에 따라 서해에서 남북이 상호 적대행위를 중단하고,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기준으로 평화수역을 설정하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추후 남북 어민들의 이익 창출과 연계해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