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언론이 ‘판문점 선언’ 이행 등을 통한 남북관계 진전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 미국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노동신문>은 4일 신문 6면에 ‘북남관계를 가로막는것은 미국의 앞길을 막는것이다’라는 제목의 기명 논평을 통해 최근 미국의 태도를 지적했다. 신문은 “지난 4월 력사적인 판문점선언이 발표되였을 때 온 세상이 흥분하였고 미국은 그 누구보다 쌍수를 들어 찬동을 표시하였다”면서 그런데 “북남사이에 진행되는 각이한 협력사업들에 대해 (미국 쪽에서) 심기불편한 소리들이 태평양너머로부터 련일 날아오고있다. 미국은 그 무슨 대변인이요, 관계자요 하는 인물들을 내세워 남북관계 전진은 비핵화와 엄격히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남북협력 사업들은 어떤 형태이든 북조선에 대한 경제적, 외교적 압박을 조기에 덜어주고 비핵화 목표를 성사시킬 확률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심술을 부리고있다”고 지적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각) 한국 정부의 대북 특별사절단 평양 파견에 대해 “남북관계 진전은 비핵화 진전과 발맞춰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미국이 한국 정부에 판문점 선언 이행, 남북 협력과 관련해 속도조절을 요구하는 듯한 발언으로 읽혔다.
특히 이 신문은 남북이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설, 남북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등을 비롯해 향후 대북제재 완화에 따라 본격화할 수 있는 개성공업지구 재가동, 금강산 관광 재개 등에 대해 미국이 “사사건건 걸고들며 시기상조요 뭐요 하고 뒤다리를 잡아당기는가 하면 지어 예정된 북남수뇌회담까지 마뜩지 않게 여기면서 한-미 사이에 불협화음이 커지고 있다고 볼 부은 소리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반도의 화합, 번영, 평화를 기원하며 외교적 해결책을 선호하던 미국의 태도가 바뀐 데 대해 비판을 목소리를 낸 것이다.
실제 남북은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남북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사업을 위한 공동조사 차원에서 지난달 23일 남쪽 열차를 신의주까지 운행하며 북쪽 철도 구간의 상태를 점검하려고 했지만, 유엔군사령부의 불허로 계획이 무산되면서 미국의 ‘주권 침해’ 논란이 일었다.
(▶관련기사: [단독] 남북 철도 공동점검, 유엔사가 불허…‘주권 침해’ 논란)
<노동신문>은 “미국이 북남관계의 기본장애물로 되고 있는 조건에서 북남협력사업의 성과적 추진은 남조선당국의 용기와 성실성에 달려있다고 한 어느 한 외신의 주장은 전적으로 옳은 것이다”라며 “북남관계의 동력도 우리 민족내부에 있고 전진속도도 우리가 정한 시간표에 있다”고 강조했다. 북-미 관계가 교착되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남북 간 판문점 선언은 계획대로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짚은 셈이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