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북한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9·9절) 기념 열병식에서 인민군 탱크부대가 지나가고 있다. 이날 열병식에 대륙간탄도미사일은 등장하지 않았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평양/AP 연합뉴스
북한이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70돌’(9·9절)을 맞았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대규모 기념 열병식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전략무기는 동원되지 않았다. 북-미가 비핵화-관계정상화 협상의 새 동력원을 모색하는 상황에서 불필요한 자극을 피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시엔엔>(CNN) 방송 등 9·9절 행사에 초청된 외신들은 이날 오전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열병식에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이 등장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윌 리플리 <시엔엔> 기자는 행사를 마치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북한 열병식은 2시간 가까이 진행됐다”며 “과거와 달리 대륙간탄도미사일도 없었고 핵프로그램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도 없었다”고 전했다. 그는 약 1만2천명의 군인과 5만명이 넘는 시민이 참석했다고 추정했다. 영국 보도전문 채널인 <스카이 뉴스>의 톰 체셔 기자도 “미사일도, 발사대도 없었다. 김정은이 외교적 도발을 피하려고 하는 분명한 신호”라고 자신의 트위터에 올렸다.
미국의 북한전문 매체 <엔케이 뉴스>는 이날 열병식에 대륙간탄도미사일뿐 아니라 준중거리미사일(MRBM)도 등장하지 않았으며, 300㎜ 신형방사포(KN-09) 등 전술무기가 주를 이뤘다고 전했다. 지난 2월8일 건군절 70돌 기념 열병식 때 북한이 재래식 무기와 함께 화성-14형, 화성-15형 등 장거리미사일을 선보였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북한 매체들이 이날 열병식을 생중계하지 않은 점도 눈길을 끌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은 “6·12 북-미 정상회담 이후 상대(미국)에 대한 배려와 존중 차원”이라며 “북한이 자신들의 비핵화 의지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선행동”이라고 분석했다.
9일 북한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9·9절) 기념 열병식에서 인민군 병사들이 발을 높이 들며 총검을 앞세운 채 행진하고 있다. 평양/AFP 연합뉴스
이날 최대 관심사 중 하나였던 김 위원장의 ‘열병식 연설’도 없었다. 김 위원장은 집권 뒤 6차례의 열병식에 참석했다. 이 가운데 김일성 주석 출생 100년을 맞은 2012년 4월15일과 조선노동당 창건 70돌이었던 2015년 10월10일, 북한이 건군절을 2월8일로 바꾼 뒤 맞은 첫해인 올해 2월 열병식 때 연설을 했다. 다만 9·9절 기념 열병식은 2013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며, 5년 전 김 위원장이 참석했을 때도 연설을 하지는 않았다. 대신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이날 ‘경제 개발의 전선에 나설 준비도 해야 한다’는 취지의 개막연설을 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이날 열병식의 가장 큰 변화는 행사의 초점이 ‘핵강국 건설’에서 ‘사회주의 경제강국 건설’로 이동했다는 점이다. 외신들은 일부 무기에 과거 새겨진 것으로 보이는 반미 구호들도 남아 있었으나 주로 “경제 건설에 총력을” 등 북한의 경제 개발을 독려하는 구호들이 넘쳐났다고 전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9·9절 70주년을 맞아 “자주국방과 경제강국에 방점을 맞춰 주민들에게 미래에 대한 비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8일 북한 평양 실내체육관에서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9·9절) 기념 전야음악회가 펼쳐지고 있다. 평양/AFP 연합뉴스
이날 행사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인 리잔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파견한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러시아 연방평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다. 쿠바의 살바도르 발데스 메사 국가평의회 수석부의장과 캄보디아의 호르 남홍 부총리 등도 자리를 지켰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날 아침 열병식 참석에 앞서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주검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북한 매체들이 2012년 9월9일 이후 김 위원장의 9·9절 금수산궁전 참배 소식을 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