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남북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지난 4월26일 오후 판문점에서 남북 군인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는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안에 있던 모든 화기와 탄약, 초소 근무 인력이 25일 철수했다. 공동검증 기간이 남아있지만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뒤 무장화 조처가 취해진 지 42년 만에 공동경비구역의 비무장화 조처가 사실상 끝난 것이다. 내달 중으로는 관광객이 공동경비구역의 남북 구역을 가리지 않고 돌아볼 수 있을 전망이다.
국방부는 이날 “남북 군사 당국과 유엔군사령부는 9·19 군사합의에 명시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비무장화를 위해 25일 오후 1시부로 JSA(공동경비구역)내 모든 화기 및 탄약, 초소 근무를 철수했다”고 밝혔다. 이어 “JSA 내 경비근무도 합의서에 따라 남북 각각 35명 수준의 비무장 인원이 수행하는 것으로 조정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1953년 정전협정에서 합의한 상태로 되돌리는 조처다.
이날 남·북·유엔사는 공동경비구역 내 남쪽 초소 4곳과 북쪽 초소 5곳의 병력과 총기, 탄약을 모두 공동경비구역 밖으로 옮겼다. 초소 자체를 허물지는 않으며, 남북 각각 35명씩의 비무장 인력이 공동경비구역의 경비근무를 서기 시작했다. 비무장 근무를 서는 군인들은 노란색 바탕에 파란색으로 ‘판문점 민사경찰’이라고 쓴 너비 15㎝의 완장을 왼팔에 찬다. 그간 공동경비구역은 무장한 남북 각 80여명의 인력이 경비를 섰다.
비무장화 조처가 완료됨에 따라 남북 군 당국과 유엔사는 이행결과를 점검하기 위해 26~27일 이틀간 공동경비구역 안에 있는 모든 초소와 시설물을 대상으로 공동 검증절차에 들어간다. 이어 3자는 곧 공동경비구역 북쪽 지역 ‘판문점 다리’ 끝점에 남쪽 초소를 설치하고, 남쪽 지역 판문점 진입로에는 북쪽 초소가 새로 설치할 예정이다. 현재 양쪽이 각자의 초소가 위치한 인근에 교차 초소를 세우는 작업이다.
공동 검증이 원활하게 마무리되고 초소 설치가 끝나면 내달 중에는 남·북 민간인과 외국인 관광객이 공동경비구역의 남북지역을 자유롭게 돌아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인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방문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현재는 일요일과 월요일, 공휴일을 제외하고 이 시간에 방문이 가능하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