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7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으나, 아직 북쪽에서는 이렇다 할 반응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11일께 열린다고 전해진 북쪽의 주요 회의 뒤에야 답변을 해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된 대로 가급적이면 연내 답방하는 방향으로 북쪽과 협의해오고 있다”면서도 “북쪽에서 (답방에 대한) 구체적인 답은 주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가능성을 몇 퍼센트로 보느냐’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지만, 저희로선 가능성이 있다는 쪽으로 일단 더 보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가 이런 판단을 하는 데는 지금껏 한반도 정세를 추동해온 ‘남-북-미 정상 삼각축’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시에 김 위원장을 향해 긍정적인 메시지를 보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의 조기 서울 방문의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고, 문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이 바라는 바를 들어주겠다’는 전언을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조기 답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강하게 반복해 발신하고 있다. 조 장관이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을 열어둔 것도 답방을 ‘촉구’하는 성격이 짙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담판’이 아니고서는 문제를 풀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이는 김 위원장에게, 일단 4차 남북정상회담을 2차 북-미 정상회담으로 가는 다리로 삼아보라는 신호다.
앞서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일정별로 가능한 시나리오를 만들어 북쪽에 전했으나 북쪽이 답을 주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 장관은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7주기인 12월17일 전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 일정에 대해 북쪽에서 그런 부분까지 의사를 밝혀온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일부에서는 북쪽의 ‘안보일꾼회의’가 열리는 것으로 알려진 11일 또는 14일 이후 북쪽이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답변을 보내오리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한편, 조 장관은 이날 김 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할 때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남쪽 사회에서 여러 의견이 분출될 수 있고, 이런 것들로 남남갈등이 격화될 수 있다는 점”이라고 짚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