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초 이탈리아 정부에 가족과 함께 신변보호·망명 요청
2015년 5월 현지 부임, 귀국 앞둔 상황…한국행 원치 않는 듯
정부 “정보사항은 확인해줄 수 없다”
2015년 5월 현지 부임, 귀국 앞둔 상황…한국행 원치 않는 듯
정부 “정보사항은 확인해줄 수 없다”
북한의 조성길 이탈리아 주재 대사대리가 제3국 망명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조 대사대리는 지난달 초 이탈리아 정부에 ‘신변보호’와 ‘제3국 망명’을 요청했다고 전해진다. 조 대사대리가 망명하기를 원하는 ‘제3국’이 한국은 아닌 듯하다. 이탈리아 정부는 조 대사대리와 그의 가족을 안전한 곳에서 보호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조 대사대리의 제3국 망명 타진 여부에 대해 확인하지 않았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아는 바 없다”고 밝혔고, 외교부와 통일부 당국자는 “확인해줄 내용이 없다”고 입을 닫았다. 정보기관 관계자도 “정보 사항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했다. 정부 관계자들이 ‘사실이 아니다’라고 하지 않은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 대사대리의 망명 타진이 사실로 공식 확인되더라도 남북관계를 포함한 한반도 정세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리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 전망이다.
조 대사대리는 2015년 5월 현지에 부임해 1등 서기관으로 일하다 2017년 10월부터 대사대리로 일해왔다. 2017년 9월 북한의 6차 핵실험 강행 직후 이탈리아 정부가 당시 문정남 북한대사를 추방한 탓이다. 조 대사대리는 임기 3년을 거의 채워 본국 귀환이 임박한 처지인데, 이런 상황이 그가 가족과 함께 망명을 타진하기로 결심하는 데 영향을 끼쳤으리라 추정된다.
재외공관에서 일하던 북한 외교관의 제3국 망명 (추진) 사실이 알려지기는 2016년 8월 한국으로 온 태영호 당시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 이후 처음이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