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용기 참매 1호의 모습. 청와대 사진기자단
평양-베트남 ‘논스톱 비행’ 가능
실리 중시 성격에 안전 이유로
중국 항공기 빌려 타고 갈 수도
실리 중시 성격에 안전 이유로
중국 항공기 빌려 타고 갈 수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두번째 정상회담이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것으로 발표되면서, 김 위원장이 전용기인 ‘참매 1호’로 이동할 것인지도 관심사로 떠올랐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5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2차 정상회담을 위해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를 방문했을 때 참매 1호를 탔다. 이 때문에 김 위원장이 지난해 6월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에도 참매 1호를 타고 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김 위원장은 예상을 깨고 중국국제항공의 보잉747기를 빌려 탔다. 참매 1호는 옛소련 때 제작된 일류신-62M을 개조한 기종으로 제원상 비행 거리가 1만㎞에 달해 평양에서 4700㎞ 거리인 싱가포르로 비행하는 데 문제가 없지만, 기체가 노후화됐고 장거리 운항 경험이 적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당시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참매 1호를 타고 싱가포르로 이동해 비행기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김 위원장도 1차 북-미 정상회담 직후인 6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3차 북-중 정상회담 때 다시 참매 1호를 이용했다.
이번 베트남 북-미 정상회담에 김 위원장이 어떤 비행기를 타고 갈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전망이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중국 비행기를 (다시) 빌려 타는 것을 원하지 않는 듯하다”며 김 위원장이 참매 1호를 선택할 가능성을 높게 본다. 참매 1호의 비행 가능 거리를 따져봤을 때 평양에서 하노이(2751㎞)나 다낭(3080㎞)까지는 중간 급유 없이 한번에 갈 수 있다.
다만 체면보다 실리를 중시하는 김 위원장의 성격을 고려하면 안전 등을 이유로 중국 항공기를 빌려 탈 가능성도 남아 있다. 평양~베트남 구간은 김 위원장이 참매 1호를 이용했던 평양~다롄(223마일·358㎞), 평양~베이징(487마일·783㎞) 구간보다는 최소 4배가량 멀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