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영상] 긴박했던 북한 심야 긴급회견…기자들 운동화·‘추리닝’ 질주

등록 2019-03-01 07:46수정 2019-03-01 17:47

북-미 정상회담 끝난 날 밤
하루종일 두문불출하던 북 대표단
각국 기자 일부 호텔로 들여보내
트럼프 대통령 기자회견 반박
기자회견은 12분 만에 마무리
.
.

한밤중에 북한이 전 세계 기자들을 불러모았다.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고, 취재진의 질문을 받은 뒤 답도 했다.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두번째 정상회담을 한 28일을 막 넘긴 시각이었다.

■ 표정 어두운 리용호·최선희 멜리아 호텔서 한밤중 기자회견

1일 새벽 12시15분(현지시각)께,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김 위원장의 숙소인 하노이 멜리아 호텔 1층에 마련된 기자회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북한의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우리로치면 외교장관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북-미 회담 의제 관련 실무 협상에 관여한 최선희 외무성 부상도 함께 따라 들어왔다.

북쪽 대표단은 28일 오후 1시30분께 회담을 마친 김 위원장과 숙소로 돌아간 뒤 12시간 가까이 두문불출했다. 숙소엔 적막감만 흘렀다. 기자회견이 더 갑작스러운 이유였다.

리 외무상은 회견장 앞에 마련된 탁자 가운데 자리에 앉았고, 최 부상이 그 오른쪽에 자리했다. “제2차 조-미 수뇌상봉 회담 결과에 대한 대한 우리의 입장을 밝히겠습니다. 질문은 받지 않겠습니다.” 리 외무상은 왼쪽 가슴에서 고이 접은 두 장짜리 입장문을 꺼냈다. 바로 읽어 내려갔다.

리 외무상이 한 문장을 말하고 나면, 왼쪽에 서 있는 남성이 영어로 통역했다. 목소리는 낮았고, 표정은 어두웠다. 최 부상은 리 외무상이 입장문을 읽는 동안 입을 꾹 다문채 표정을 드러내지 않았다.

입장문의 주요 내용은 앞선 28일 오후 2시30분(현지시각)께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밝힌 2차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반박이었다. 리 외무상과 최 부상의 말을 종합해보면 북한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영변 핵 시설을 완전히 “되돌릴 수 없게”(최선희 부상) 폐기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에 대한 상응조처로 미국이 인민생활에 지장을 주는 민생분야 제재 5건의 일부 항목을 부분적으로 해제해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미국은 북한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영변 핵 시설 폐기 외에 “한 가지를 더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합의문 도출이 무산됐다. 여기까지가 이날 북쪽이 밝힌 2차 정상회담 상황 설명이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가운데)이 1일 오전 0시15분 숙소인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 호텔에서 한밤 기자회견을 열어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을 반박하고 있다. 왼쪽은 최선희 외무성 부상. 하노이/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리용호 북한 외무상(가운데)이 1일 오전 0시15분 숙소인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 호텔에서 한밤 기자회견을 열어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을 반박하고 있다. 왼쪽은 최선희 외무성 부상. 하노이/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 북, 사상 처음으로 취재진과 공식 질의응답…회견과 문답 12분간 이어져

이날 리 외무상이 북한 입장문을 낭독한 시간은 7분이 조금 넘었다. 앞서 리 외무상은 기자회견을 시작하기에 앞서 “질문은 받지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리 외무상이 입장문 발표를 마치고 자리에서 일어나자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리 외무상은 회견장을 나가며 최 부상에게 “질문 좀…(대신 받아달라)”이라고 말했다. 각국 취재진의 눈과 귀가 최 부상에게 모아졌다. 취재진은 마이크와 카메라를 최 부상 코 앞에 들이 밀었다.

최 부상은 회견장 앞쪽에 서서 5분 정도 기자들의 질문 공세를 받았다. 북한 고위 관계자가 전 세계에서 온 기자들과 공식적으로 기자회견 내용에 대한 문답을 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었다. 28일 열린 북-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현장을 취재하는 백악관 출입기자단이 ‘비핵화 의사’를 묻자 “(비핵화가) 준비되지 않았다면 여기까지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는데, 이날 최 부상은 아예 질문을 받기 위해 기자들 앞에 섰다.

기자들은 서로 소리치며 서로 다른 질문들을 토해냈다. ‘미국이 요구한 추가조치가 무엇이냐’, ‘민생을 위한 5가지 제재는 뭐냐’, ‘다음 번 회담은 언제냐’ 등등 질문 소리가 뒤섞여 최 부상이 누구의 물음에 답해야 할지 모를 만큼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를 묻는 말부터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한 설명 요구까지 다양한 질문이 나왔다. 최 부상은 “회담과 관련된 질문만 국한시켜 달라”고 했다. 외신 기자에게는 영어로 답변하기도 했다. 중간 중간 손에 들고온 작은 수첩을 보며 답변을 이어갔다.

5분여 시간 동안 이어진 질문·답변을 끝으로 최 부상은 기자회견장을 떠났다. 기자들이 뒤를 쫓아가며 질문 공세를 퍼부었지만, 더이상 답변하지 않았다. 최 부상은 회견장 밖에서 기다리던 리용호 외무상과 함께 호텔 엘레베이터를 타고 사라졌다. 북한의 ‘한 밤 기자회견’은 12분 만에 끝이 났다.

1일(현지시각) 하노이 멜리아호텔 앞에서 취재진이 리용호 외무상의 기자회견 취재를 위해 기다리고 있다. 하노이/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1일(현지시각) 하노이 멜리아호텔 앞에서 취재진이 리용호 외무상의 기자회견 취재를 위해 기다리고 있다. 하노이/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한겨레>가 기자회견장 들어가기까지…숙소서 뛰쳐나와 전속력으로 달려

<한겨레>는 이날 기자회견이 열린다는 정보를 28일 밤 11시(현지시각)를 넘긴 시각에 베트남 현지 소식통을 통해 입수했다. 이 정보가 사실인지 여부를 확인하다보니 밤 12시가 거의 다 됐다. 기자회견이 열린다는 사실이 확인되자마자 <한겨레>는 멜리아 호텔로 뛰어갔다. 정상회담 취재를 위해 하노이 현지에 파견된 <한겨레> 취재진이 머무는 숙소에서 멜리아 호텔까지는 전속력으로 달리면 5분이 채 걸리지 않는 거리였다. 하루종일 회담 취재를 마치고 돌아온 <한겨레> 취재진은 숙소에서 쉬고 있던 상황이었다. 복장도 ‘추리닝’ 차림이었다. <한겨레> 기자는 밤 12시가 되기 직전 기자회견 개최 사실을 공식적으로 정부 소식통에게 확인하자마자 추리닝 바지를 입고 맨발에 운동화를 신은 뒤 뛰쳐 나갔다. 베트남 정부가 발급해준 기자 신분증과 휴대전화만 들고 전속력으로 달렸다.

호텔 앞 울타리가 쳐진 통제구역 앞에 도착하니 시계는 12시4분을 가리켰다. 잠시 기다리자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이 그려진 붉은 ‘뱃지’(초상휘장)를 단 북쪽 관계자가 나왔다. 기자가 “들여보내주세요”라고 외치자 이 북 관계자는 “한 명씩 합시다”라며 소속 매체와 기자 신분증을 확인했다. 베트남 공안들이 다시 한 번 정확히 신분증을 체크했다. 그제서야 울타리를 넘어 호텔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호텔 로비에서 한 층 위층에 있는 1층 기자회견장은 의외로 아담한 크기였다. 취재진이 앉을 수 있는 의자 50개가 마련돼 있었다. 하지만 이 의자들이 모두 취재진으로 채워진 것은 아니었다. 북쪽에서는 현장에 빨리 도착한 한국의 신문·방송·통신 매체 일부와 각국에서 온 외신 기자, 그리고 카메라 기자들 극소수에게 기자회견 취재를 허용했다. 기자회견이 시작하기 30∼40분 전부터 취재진은 저마다 자리를 맡은 뒤 취재 준비를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하노이/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