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북한 최신 스마트폰 ‘평양2423’ 써보니 ‘깜짝’

등록 2019-03-11 04:59수정 2019-03-18 17:02

이어폰, 케이블과 함께 2년짜리 보험증권도 함께
외국어, 날씨, 오락 등 23개 앱 기본으로 깔려
장갑 끼고 터치스크린 조작 기능도 탑재
1300만 화소 고성능 카메라엔 얼굴 보정 기능도
소프트웨어 수준 높아…배터리 수명 짧은 건 단점
북한 최신형 스마트폰 평양 2423과 사용설명서 등
북한 최신형 스마트폰 평양 2423과 사용설명서 등
‘중국산 부품들을 조립해 만들어 조잡하다’는 평가를 받는 북한산 손전화의 실체는 어떨까? <한겨레>는 지난 6일 지난해 북한에서 출시된 최신형 스마트폰인 ‘평양2423’을 입수해 사용해볼 수 있었다.

일단 평양2423의 겉모습은 국내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보급형 스마트폰과 다를 바 없었다. 체콤기술합영회사가 만든 이 제품은 이어폰과 충전 케이블, 콘센트와 사용설명서, 화면 보호필름과 함께 검은 곽에 담겨 소비자에게 전해졌다. 플라스틱 재질로 된 손전화 커버도 구성품이며 ‘담보기간’ 2년짜리인 보험증권도 딸려온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체계를 사용하는데 사진기, 동영상, 녹음기, 나침판, 달력, 기록장 등 20개의 유틸리티 외 23개의 앱이 기본으로 깔려 있었다. ‘백두산 총서’와 ‘광명도서’ 등 체제선전용 앱도 있지만 조선말·다국어·중어·한자사전이나 영어나 중국어 학습 앱, 문서와 엑셀, 피피티(ppt)까지 만들 수 있는 ‘사무처리’ 앱과 날씨를 알리는 ‘기상정보봉사’ 앱, 오락 앱 등 다양하게 제공됐다. 영어 배우기 앱을 구동하면 “외국어를 잘 알아야” 한다는 김일성 주석의 ‘말씀’과 함께 “Be동사”에 대한 학습 목록이 나온다. ‘분노한 새’라는 오락은 앵그리버드와 비슷해 보였다.

평양 2423에 설치된 앱들
평양 2423에 설치된 앱들
앱 가운데 ‘나의 길동무 4.1’은 단연 눈길을 끈다. 북한 선전매체인 <조선의 오늘>은 지난해 이 앱이 ‘삼흥정보기술교류소의 일군과 연구사들’이 개발한 “종합열람프로그람”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도서들을 청취하고 예술공연도 시청하면서 사상정신적으로 더욱 수양”할 수 있다고 소개한 바 있다. 150여개의 오락과 내비게이션인 ‘길동무1.1’, 연산 퀴즈인 ‘속셈명수’, 홈트레이닝을 지도하는 ‘30일 몸단련 1.0’ 등의 ‘프로그람’도 24개가 있다. 이에 더해 외국문학(104)과 조선문학(241)을 비롯해 의학도서, 아동문학, 전문분야도서편까지 1500권 이상의 도서와 900편이 넘는 영화 등 “동영상물” 및 669곡의 “화면반주음악”까지 다양한 구성이다. 몇 년 전만 해도 ‘삼지연’ 등 북한 태블릿 피시에 ‘김일성전집’ 등 체제선전용 도서 중심의 콘텐츠가 기본으로 제공됐던 것과는 대비된다.

평양 스마트폰 2423(왼쪽)과 국내 휴대전화로 셀카를 찍어 비교했다.
평양 스마트폰 2423(왼쪽)과 국내 휴대전화로 셀카를 찍어 비교했다.
평양2423에 깔린 앱 가운데 일부 무료 콘텐츠를 제외하고는 인트라넷을 통해 온라인 구매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북한 전문 온라인매체 <엔케이뉴스>가 실은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의 뉴질랜드 유학생 알렉 시글리(Alek Sigley)의 ‘북한 생활기’를 보면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앱 구매가 보편적이라고 소개되어 있어, 온라인을 통한 구매는 최근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평양 2423의 ‘보험 증권’…보증 기간 2년으로 A/S 등을 보장한다.
평양 2423의 ‘보험 증권’…보증 기간 2년으로 A/S 등을 보장한다.
이밖에 ‘장갑기능’으로 설정하면 장갑을 낀 채 터치스크린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도 눈에 띈다. 1300만 화소의 고성능 카메라는 자체에 ‘얼굴 보정기능’이 있어서 사진을 찍을 때 ‘부드럽게, 하얗게, 날씬하게, 눈 크게, 배경 빛’ 등 옵션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지난해 ‘인물 사진 모드’를 도입해 호평을 받은 업체의 최신형 스마트폰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다. 북한 이동통신기술 분야 전문가 이영환 전 후지쯔 전무는 “우리 기준으로 보면 별것 아니라고 할 수 있는데, 사실은 소프트웨어 수준이 굉장히 높다”고 평가했다. 단점으로는 배터리 수명이 짧다는 점을 꼽았다. 블루투스 기능도 있으나 현지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김지은 노지원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