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함정이 28일 오전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하고 있다. 해군 제공
29일부터 부산과 싱가포르 근해에서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등 12개국 함정과 항공기가 참가해 국제거래가 금지된 물품을 선적한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검색하는 등 국제 해양범죄를 차단하기 위한 대규모 연합 해상훈련이 실시된다.
해군은 28일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 회의’(ADMM-Plus) 산하 해양안보분과위원회 회원국들이 29일부터 다음달 13일까지 부산과 싱가포르 근해에서 연합 해상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18개국 국방장관 협의체인 이 회의에는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8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훈련에는 18개 회원국 가운데 12개국의 함정 16척, 항공기 6대가 참가한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미얀마, 뉴질랜드, 러시아 등 6개 회원국은 참관단을 파견한다.
29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부산 근해에서 열리는 1부 훈련은 민간 선박 피랍 등 해상범죄에 대처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다음달 9일부터 13일까지 싱가포르 근해에서 열리는 2부 훈련은 국제거래가 금지된 물품을 적재한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검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거래 및 금지물품 수출입 차단을 겨냥한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해군은 “이번 훈련에서는 금지물품을 ‘무기’로 가정했다"고 밝혔다. 해군은 1부 훈련에 구축함 왕건함(4400t)과 호위함 전북함(2500t), 상륙함 천자봉함(4900t)을 비롯해 UH-60 헬기 2대, 대잠수함 헬기(링스) 1대 등을 보낸다. 2부 훈련에는 왕건함이 참여한다.
한국 해군이 지휘하는 1부 훈련에는 미국,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 8개국 함정 10척과 항공기 6대가 참여한다. 일본은 참가하지 않는다. 지난해 12월 불거진 ‘레이더-근접비행’ 갈등의 여파로 분석된다.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 회의’ 해양안보분과위는 지난 2014년 다자 간 해양안보 협력을 위해 연합 해상훈련을 3년 주기로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2016년 해양안보분과위 회의 때 싱가포르와 함께 공동의장국에 선정돼 2020년까지 임무를 수행한다.
유강문 선임기자
m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