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해상자위대 소속 P-3 초계기가 우리 해군 구축함 대조영함에 근접해 저고도 위협비행을 하는 장면을 국방부가 1월24일 공개했다. 일본 초계기가 고도 약 60m로 비행하면서 대조영함 우현을 통과하고 있다. 2019.1.24 국방부 제공
한국과 미국, 일본의 고위급 국방당국자들이 참가하는 한·미·일 안보회의(DTT)가 다음달 초 서울에서 열리는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한·미·일 안보회의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를 비롯한 지역 안보 현안을 주로 논의하는 협의체로 2008년부터 개최됐다. 올해 회의에는 세 나라의 차관보급 이상 인사들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회의에선 '레이더-근접비행 갈등'으로 냉랭해진 한-일 간 국방 교류·협력 복원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봉합 국면에 접어든 듯했던 한-일 갈등은 최근 한국 정부가 일본 초계기의 근접비행에 대해 군사적 조처를 설명하고, 일본 정부가 이에 반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재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지난 22일 “일본 군용기가 한국 함정으로부터 3해리(약 5.5㎞) 이내로 접근하면 사격용 화기관제레이더를 비추겠다고 한국 정부가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국방부는 이에 대해 지난 1월23일 주한 일본대사관 무관을 불러 한-일 간 해상에서의 우발적 충돌 방지를 위해 우리 군의 군사적 조처와 기조를 설명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일본은 지난 10∼11일 서울에서 열린 비공개 실무협의회에서 철회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 두 나라가 화해·치유재단 해산, 강제징용 배상 판결로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군사 분야에서도 틈이 벌어지자 미국 쪽에선 한-일 관계 복원에 대한 바람을 내비치고 있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최근 기자들과 만나 “한국과 일본이 양국 간에 의견 일치를 볼 수 있다면 한·미·일 3각 협력 역시 강화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 도쿄 미국대사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선 “동맹 간의 협력은 미국이 설정한 목표를 이루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유강문 선임기자
m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