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2019년 5월13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데이빗 비즐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에 국내산 쌀 5만t을 지원한다. 최근 10년 중 가장 심각한 식량 부족 상황에 처한 북한 주민들이 겪을 어려움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이번 식량 지원이 159만t에 이르는 북한의 식량 부족 상황을 해결하기는 어려운 만큼 향후 추가 지원도 검토할 방침이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북한의 식량상황을 고려해 그간 세계식량계획(WFP)과 긴밀히 협의한 결과, 우선 국내산 쌀 5만t을 북한에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정부는 금번 세계식량계획을 통해 지원되는 식량이 북한 주민에게 최대한 신속히 전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북한에 대한 추가적 식량지원의 시기와 규모는 지원 결과 등을 보아가며 추후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세계식량계획이 오랜 기간 대북 지원 사업을 진행한 만큼 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하고 효과적인 분배·모니터링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이들을 경유한 식량 지원을 결정했다.
인도주의적 차원의 이번 지원은 북한의 심각한 식량 부족 사정을 감안한 결과다. “같은 동포인 북한 주민이 겪는 생존의 어려움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이뤄지는 “최소한의 긴급 지원의 성격”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지난 2월 김성 주 유엔 북한대표부 대사는 “자연재해와 제재 영향으로 식량 생산이 지난해 대비 50만t 감소”했다며 올해 식량이 148.6만t이나 부족한 점을 들어 국제기구에 긴급 식량 원조를 요청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은 지난달 북한 식량 안보 평가 보고서를 내어 “인구의 40%가 식량 지원이 절실한 상태”라며 “5∼9월 춘궁기에는 더 악화될 수 있다. 인도주의적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세계식량계획에서는 이 조사 결과에 따라 국제사회에 대북 식량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국내산 쌀 5만t은 세계식량계획을 경유해 북한에 전달된다. 한국 정부는 세계식량계획과 식량 수송 경로 및 일정 등에 대한 세부 협의를 마치는대로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를 열어 남북협력기금 지원안을 의결하고 남쪽 항구에서 세계식량계획 쪽에 쌀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후 세계식량계획이 쌀을 북한까지 운송한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