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밤 동해 북방한계선을 넘어온 북한 소형 목선.
군, NLL 넘어온 북 소형 목선 예인…합참, “선원들 ‘방향 잃었다’ 진술”
배에는 군 부업선 표시
3명 중 1명은 군복 입어
지역합동정보조사 진행 중
27일 밤 11시께 북한 소형 목선이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남쪽으로 왔고 군 당국이 목선과 선원 3명을 28일 새벽 인근 군항으로 예인 및 이송했다고 합동참모본부(합참)가 밝혔다.
합참은 “27일 밤 11시21분께 북한 선원 3명이 타고 있는 소형 목선이 동해 북방한계선을 월선해 우리 함정이 즉각 출동했다”고 28일 발표했다. 군 당국은 배에 타고 있던 3명을 28일 새벽 2시17분께, 목선을 새벽 5시30분께 강원도 양양 지역 군항으로 각각 이송 및 예인했다. 선원들은 남쪽으로 귀순할 의사를 묻는 말에 “아니요, 일없습니다(괜찮습니다)”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현재 군을 비롯한 관계기관은 지역 합동 정보 조사를 진행 중이며, 선원들의 귀순 의사가 없다는 사실을 최종 확인하면 이들을 송환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군 당국이 북한에서 넘어온 소형 선박을 곧바로 예인 조치한 것은 다소 이례적이다. 군 당국은 해당 선박의 남하 과정에서 다른 고기잡이배들과는 다른 특이 동향이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배 주변에 다른 어선이 없었고, 멈춰 서 있던 배가 일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정확히 남쪽을 향해 내려오다 북방한계선을 넘어 한국 영해 안으로 진입한 점이 대표적이다.
합참 관계자의 설명을 들어보면, 27일 밤 10시15분께 육군은 동해 북방한계선 북쪽으로 약 5.5㎞, 북한 해안에서는 약 20㎞ 떨어진 지점에 멈춰 서 있는 배 한 척을 포착했다. 10시39분께 이 배는 2~5노트 속도로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밤 11시21분께 북방한계선을 넘었다. 군 당국은 초계함과 고속정, 고속단정(RIB)을 현장에 투입했다. 12시18분, 북방한계선 남쪽 6.3㎞ 지점에서 특전사 요원이 선박에 올라 세 사람이 타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배는 길이 약 10m의 북한 소형 목선으로 엔진이 탑재됐으며 다수의 어구를 실었고 어창에 오징어가 적재돼 있었다고 군은 설명했다. 위성항법장치(GPS)는 없었다고 한다. 합참은 해당 목선에 군 식량 조달 역할을 하는 ‘군 부업선’임을 알리는 표지가 있었고, 배에 타고 있던 3명 가운데 1명이 군복을 입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선원들은 북방한계선을 넘어 남하한 이유에 대해 “방향성을 잃었다”, “항로 착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안이 발생한 당일 그 경과를 언론에 상세히 설명한 점도 이례적이라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달 15일 북한 목선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삼척항에 들어온 뒤 지역 주민이 이들을 보고 신고할 때까지 군 당국이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이 드러나면서 군의 대비 태세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 것을 의식했다는 관측이 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27일 밤 북한 소형 목선(왼쪽)이 동해 북방한계선을 넘어와 한국 군 당국이 목선과 승선인원을 28일 새벽 강원도 양양 지역 군항으로 예인 및 이송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이날 밝혔다. 28일 새벽 한국 함정이 북한 소형 목선을 견인해오고 있다.
합참 관계자의 설명을 들어보면, 27일 밤 10시15분께, 육군 22사단 해안 레이더가 동해 북방한계선에서 북쪽으로 약 5.5㎞, 북한 해안에서는 약 20㎞ 떨어진 지점에 멈춰 서 있는 배 한 척을 포착했다. 10시39분께 이 배는 2∼5노트 속도로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밤 11시21분께 북방한계선을 넘었다. 이에 군 당국은 인근 해상에서 경계 작전을 펼치던 한국 초계함과 근처 군항에 정박하고 있던 고속정, 해군 1함대 소속 고속단정(RIB·Rigid Inflatable Boat·립)을 현장에 투입했다. 해군 고속정 2척이 11시41분께, 고속단정 1척이 28일 오전 12시1분께 해당 선박 가까이에 도착했다. 해군 초계함 1척은 오전 12시10분께 현장에 도착했다. 12시18분, 북방한계선 남쪽 6.3㎞ 지점에서 특전사 요원이 해당 선박에 승선해 선박에 세 사람이 타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배는 길이 약 10m의 북한 소형 목선으로 엔진이 탑재됐으며 다수의 어구와 어창에 오징어가 적재돼 있었다고 군은 설명했다. 합참 관계자는 “현재까지 확인되기로는 (이 배에) 위성항법시스템(GPS)은 없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선박에 타고 있던 3명과 해당 목선을 각각 28일 새벽 2시17분과 5시30분께 강원도 양양에 있는 한국 군항으로 이송, 예인했다. 세 사람은 기초조사를 받은 뒤 현재 동해 1함대로 옮겨져 지역 합동 정보 조사를 받고 있다.
사안이 발생한 당일 그 경과에 대해 언론에 상세히 설명하는 것은 이례적이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달 15일 북한 목선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삼척항에 들어온 뒤 지역 주민이 이들을 보고 신고할 때까지 군 당국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것이 드러나면서 군의 대비 태세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 것을 의식했다는 관측이 있다. 군의 경계 작전 당시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었다고 전해졌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