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28일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2차 정상회담을 하고 나서 악수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5일, 미국 국무부가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위를 유지한 ‘2018년 국가별 테러보고서’를 발표한 사실을 비난하며 “조(북)미 대화의 창구는 점점 더 좁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북쪽 외무성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문답 형식을 빌려 “조미 대화가 교착 상태에 놓인 지금과 같은 민감한 시기에 미국이 ‘테러지원국’ 감투를 계속 씌워보려고 집요하게 책동하고 있는 것이야말로 대화 상대방인 우리에 대한 모독이고 배신”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아울러 “이것은 미국이 우리에 대한 체질적인 거부감에 사로잡혀 대조선적대시정책을 변함없이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외무성 대변인은 미국의 테러보고서가 “온갖 허위와 날조로 일관된 엄중한 정치적 도발”이라며 “전면 배격한다”고 주장했다. 대변인은 “온갖 형태의 테러와 그에 대한 어떠한 지원도 반대하는 것은 우리의 일관한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북쪽의 이런 반응은, 외무성 대변인 담화보다 격이 낮은 ‘<조선중앙통신> 문답’ 형식에 내용도 최근 북쪽의 대미 비판·비난 수위를 넘어서지 않는다. ‘북미 대화의 창이 좁아지고 있다’는 표현도 새로운 주장은 아니다. 따라서 정세 흐름에 특별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듯하다.
미국은 대한항공기 폭파 사건(1987년)을 이유로 1988년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처음 지정해 유지하다 2008년 영변 핵시설 냉각탑 폭파 등 관계 진전 흐름을 타고 지정을 해제했으나, 2017년 11월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