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23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13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 개회를 선언하고 있다. 정부는 이 회의에서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철도건설사업’을 남북교류협력사업으로 인정해 조기 착공의 길을 열었다. 이제훈 기자
정부는 23일 동해선 철도 남쪽 단절 구간인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철도건설사업’을 남북교류협력사업으로 인정하고 관련 추진 방안을 확정했다. 강릉~제진 철도건설사업은 국가재정법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는 절차를 거쳐 조기 착공할 여건을 마련했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이 사업은 (대북정책을 포함한 한반도 평화 과정 진행 때) 남북관계에서 우리의 독자적 공간을 마련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밝혔다.
정부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연철 장관 주재로 제313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를 열어, 동해북부선 단절 구간인 강릉~제진 사이 110.9㎞에 걸쳐 남강릉~주문진~양양~간성~제진역을 두는 단선 전철 건설사업 방안을 남북교류협력사업으로 인정했다.
김연철 장관은 “남북교류협력 동력을 유지하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계기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강릉~제진 구간 연결 사업은 평화경제 실현을 위한 대륙철도망의 완성을 의미한다”고 남북관계와 동북아 차원의 의미를 짚었다. 이어 국내적으로도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국가 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한다는 점에서 ‘한반도 뉴딜 사업’의 의미를 지닌다”고 밝혔다.
강릉~제진 구간 철도건설사업이 마무리되면 한반도 종단 동해선 철도가 단절 구간 없이 이어져 두만강역에서 시베리아횡단철도(CTR)로, 남양역에서 만주횡단철도(TMR)·중국횡단철도(TCR)로 뻗어갈 수 있다. 국내적으로는 원주~강릉선(운행 중)과 춘천~속초선(2027년 개통 예정) 등 수도권과 강원도를 잇는 동서 횡단철도망을 활성화해 물류 개선, 관광산업과 산업단지 활성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정부는 밝혔다.
정부는 4·27 판문점 선언 두돌인 27일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에서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을 치를 예정이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