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선 서부전선 남쪽에서 장병들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김성광 기자가 2015년 8월11일 촬영했다.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이 탈북 3년 만에 재입북한 사태와 관련해 북한 <노동신문>은 27일 “당중앙의 지시와 포치(업무 분담)를 정확히 집행해 조성된 방역 위기를 타개하자”라는 제목의 사설을 4면 머리기사로 실었다.
<노동신문>은 사설에서 “(코로나19라는) 대유행 전염병에 대해서는 1%라도 안전율을 높이며 앞질러가며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 우리 당의 뜻”이라며 “자기 부문, 자기 단위의 방역사업에 대한 정책적 지도를 잘해 단 한명의 감염자도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설은 재입북자의 코로나19 확진 또는 ‘음성 판정’ 여부와 관련해 진전된 언급을 하지 않았다. “악성 비루스(바이러스) 감염자로 의진할 수 있는 석연치 않은 결과”라는 전날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 발표문과 같은 표현을 썼다. 탈북민의 재입북이 19일에 있었는데, 여드레째 최종 검사 결과를 내놓지 않은 셈이다.
아울러 사설은 방역과 관련한 내부 경각심을 촉구했으나, “월남 도주자의 불법 귀향” 사태와 관련해 남쪽을 향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25일 열린 노동당 정치국 회의 결과를 전한 <노동신문> 전날 기사에 대남 언급이 전혀 없던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탈북민 재입북 사태에 남쪽 정부나 탈북민 단체 등이 ‘개입’한 정황이 아직 없는 사실을 염두에 둔 듯하다. ‘아무 말 없음’이라는 남쪽을 향한 건조한 반응은, 대남 신호의 성격으로 읽을 수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한국전쟁 정전 67돌을 맞아 “조국해방전쟁 참전열사묘”에 참배하고 박정천 총참모장 등 “인민군 주요 지휘성원(지휘관)들에게 존함이 새겨진 ‘백두산’ 기념권총을 직접 수여했다”고 <노동신문>이 27일 1·2면에 보도했다. 역시 대남 언급은 없었다.
한편,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최근 5년간 북한의 보도 등을 통해서 확인된 재입북 탈북자는 2015년 3명, 2016년 4명, 2017년 4명 등 모두 11명”이라고 밝혔다. 북쪽이 이번에 “불법 귀향”했다고 발표한 재입북 탈북민을 더하면 12명이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