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물운반선 ‘광성 3호’가 17일 항로착오로 북방한계선(NLL)을 넘어가 10분간 북쪽 수역에 머물다 복귀했다. 광성 3호은 점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항해했다.
며칠 전 민간 선박이 항로이탈로 서해 북한수역에 잘못 들어갔을 당시, 군과 해경이 늑장대응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합동참모본부(합참)의 설명을 종합하면, 어물운반선 ‘광성 3호’는 17일 낮 12시45분께 조업한계선을 4해리(7.4㎞) 넘어 북방한계선 쪽으로 이동 중인 것이 우도의 레이더에 처음 포착됐다. 민간선박이 조업한계선을 넘어서면 해경은 즉각 단속에 나서고 해군에 통보해야 한다. 그러나 군 당국자는 “해경에서 아무 통보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당시 ‘광성 3호’는 20노트(시속 37㎞)의 속도로 북진 중이었으며 북방한계선을 6해리(11.1㎞) 쯤 남겨놓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군 당국은 첫 포착 9분 뒤인 낮 12시54분에야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를 통해 남측 어선 ’광성 3호’임을 확인했다. 이어 2분 뒤 무선망과 어선공통망으로 광성 3호을 50여 차례 호출해 복귀하라고 요청하면서 주변에 작전 중이던 고속정 1척과 대잠고속단정(RIB) 2척도 출동시켰다. 광성 3호를 레이더로 포착한 뒤 11분 만이었다.
그 사이 광성 3호는 계속 북진해 오후 1시께 북방한계선을 2해리(3.7㎞) 남짓 넘었다가 선수를 남쪽으로 돌려 되돌아왔다. 광성 3호가 북방한계선을 넘어 북쪽 해역에 머문 시간은 대략 10분 남짓이었다.
광성 3호는 김포 대면항을 출발해 덕적도 서쪽 하상도에서 새우를 실은 뒤 강화도 후포항으로 갈 예정이었으나 항로를 이탈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인 선장은 도중에 모선으로 옮겨타고 사고 당시에는 배에 베트남 선원 2명과 중국인 선원 1명만 있었다.
이들 외국인 선원이 북쪽 수역에서 남쪽으로 되돌아온 것은 군 당국의 호출이 아니라 선장이 외부에서 위성항법장치(GPS)를 확인한 뒤 연락을 취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자는 “복귀한 광성 3호를 검색해보니 통신기가 꺼져 있었다”고 말했다. 이들은 해경 조사에서 위성항법장치(GPS)에 익숙하지 않아 항로을 착각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성 3호가 북방한계선을 넘는 동안 북한 쪽에서는 아무 반응이 없었다. 군 당국자는 “광성 3호 복귀 뒤 국제상선공통망을 통해 북한에 ‘우리 민간 선박이 착오로 북방한계선을 넘어갔다 되돌아왔다’는 내용을 알려줬다”며 “아직 북쪽에서 어떤 응답도 듣지 못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