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홍범도 장군 부인·아들 등 275명 독립유공자 포상

등록 2021-02-25 11:19수정 2021-02-25 11:44

김용충 선생이 1918년 10월 제주에서 경찰관주재소 등을 파괴했다는 내용이 기록된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 판결문 일부. 국가보훈처 제공
김용충 선생이 1918년 10월 제주에서 경찰관주재소 등을 파괴했다는 내용이 기록된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 판결문 일부. 국가보훈처 제공
‘봉오동 전투’를 지휘한 홍범도 장군의 부인과 아들을 포함한 275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된다.

국가보훈처는 25일 “3·1절을 맞아 건국훈장 136명(애국장 28명, 애족장 108명), 건국포장 24명, 대통령 표창 115명 등 275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된다”며 “생존 애국지사는 없으며, 여성은 38명”이라고 밝혔다. 이번 포상으로 1949년 포상이 시작된 이래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11400명, 건국포장 1392명, 대통령 표창 3893명 등 모두 1만6685명(여성 526명)으로 늘어났다.

이번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 홍양순 선생은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의 영웅인 홍범도 장군의 아들이다. 선생은 1907년 11월 이후 함남 북청군 등지에서 부친의 의병부대에서 활동하다 1908년 6월 일본군 토벌대와 전투 중 순국했다.

홍범도 장군의 부인 단양 이씨도 1908년 3월 함남 북청에서 남편의 의병활동과 연루돼 일경에 체포됐지만 끝까지 비밀을 지키며 고문받다가 순국해,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됐다. 보훈처 관계자는 “부인의 이름은 자료에 단양 이씨라는 것 말고 남아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 박도철 선생은 1919년 4월 3일 충북 진천군 민승면 광혜원 장날에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해 만세 시위를 벌이다 일본 헌병이 쏜 총탄에 맞아 현장에서 순국했고,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 김용충 선생은 1918년 10월 7일 제주도 좌면 하원리에서 일본인 축출을 주도하고 총독부 관공서를 공격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선고받았다.

이번 건국훈장·포장과 대통령표창은 102돌 3·1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유족에게 수여된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3·1절 독립운동가 유공자 포상 명단> (275명)

◇ 건국훈장 애국장 (28명)

강순일 姜淳一 (만주방면)

강찬길 康贊吉 (만주방면)

고양린 高陽吝 (만주방면)

구만성 具萬成 (의 병)

김노디 金노디 (미주방면)

김용복 金龍福 (만주방면)

김종화 金鍾和 (학생운동)

단양이씨 丹陽李氏(의 병)

박도철 朴道哲 (3.1 운동)

박영봉 朴永鳳 (만주방면)

박종주 朴宗柱 (만주방면)

방찬문 方贊汶 (만주방면)

엄윤식 嚴允植 (국내항일)

윤영배 尹永配 (만주방면)

이순주 李淳柱 (국내항일)

이시모 李時模 (국내항일)

이정호 李庭鎬 (만주방면)

이학송 李學松 (만주방면)

장한성 張漢星 (만주방면)

전금석 田金錫 (만주방면)

주윤식 朱允植 (만주방면)

최금석 崔金石 (만주방면)

최상선 崔尙善 (만주방면)

허 용 許 鏞 (만주방면)

허용권 許庸權 (만주방면)

홍명준 洪明俊 (만주방면)

홍양순 (의 병)

황동윤 黃同允 (국내항일)

◇ 건국훈장 애족장 (108명)

강학선 康學善 (3.1 운동)

권동수 權東銖 (국내항일)

권만일 權萬鎰 (3.1 운동)

권목용 權穆龍 (일본방면)

권영욱 權永郁 (학생운동)

김공신 金公信 (중국방면)

김관식 金灌植 (3.1 운동)

김관하 金寬河 (3.1 운동)

김규창 金奎昌 (학생운동)

김두환 金斗煥 (3.1 운동)

김명산 金明山 (만주방면)

김병일 金秉一 (중국방면)

김병준 金柄俊 (3.1 운동)

김병진 金炳辰 (만주방면)

김성만 金成萬 (국내항일)

김성무 金成武 (노령방면)

김성현 金盛鉉 (국내항일)

김안진 金安鎭 (학생운동)

김영옥 金英玉 (3.1 운동)

김용주 金龍珠 (3.1 운동)

김용충 金用忠 (국내항일)

김원익 金元翊 (3.1 운동)

김원호 金源昊 (국내항일)

김종성 金鍾聲 (만주방면)

김학수 金學洙 (3.1 운동)

김현수 金玄洙 (학생운동)

김홍규 金洪圭 (국내항일)

김흥학 金興鶴 (학생운동)

문근실 文根實 (국내항일)

문 재 文 榟 (만주방면)

문창환 文昌煥 (3.1 운동)

박원후 朴垣厚 (3.1 운동)

박종한 朴鍾漢 (의 병)

박창순 朴昌純 (국내항일)

박창엽 朴昌燁 (3.1 운동)

박처후 朴處厚 (미주방면)

박흥복 朴興福 (국내항일)

방원국 方元國 (국내항일)

백근성 白根星 (만주방면)

서병학 徐丙鶴 (미주방면)

신삼룡 申三龍 (만주방면)

신정환 申正煥 (만주방면)

안석종 安石鍾 (학생운동)

안소석 安小錫 (3.1 운동)

안정득 安貞得 (중국방면)

안정송 安貞松 (미주방면)

엄일선 嚴逸善 (만주방면)

염달호 廉達昊 (3.1 운동)

염우익 廉愚益 (3.1 운동)

원종삼 元宗三 (만주방면)

유경환 柳璟煥 (임시정부)

유낙수 柳洛秀 (3.1 운동)

유상걸 柳上杰 (학생운동)

유원식 柳元植 (3.1 운동)

윤병권 尹炳權 (3.1 운동)

윤신민 尹信民 (중국방면)

윤하운 尹河運 (만주방면)

이강휘 李焵徽 (일본방면)

이경선 李景仙 (국내항일)

이내원 李來元 (의 병)

이명교 李明敎 (3.1 운동)

이명근 李明根 (3.1 운동)

이민두 李敏斗 (국내항일)

이병홍 李秉弘 (만주방면)

이익렬 李益烈 (만주방면)

이인식 李仁植 (의 병)

이창하 李昌河 (만주방면)

이철모 李喆模 (만주방면)

이춘근 李春根 (국내항일)

이태희 李泰熙 (만주방면)

이 필 李 鉍 (국내항일)

이홍우 李鴻雨 (학생운동)

임기정 林基政 (3.1 운동)

임창연 林昌椽 (3.1 운동)

전달준 全達俊 (학생운동)

정성운 鄭成雲 (만주방면)

정재염 鄭在炎 (3.1 운동)

정해인 鄭海仁 (국내항일)

조병수 趙秉秀 (만주방면)

조영화 趙永華 (3.1 운동)

조정규 趙正奎 (일본방면)

조희연 趙熙淵 (만주방면)

주덕기 朱悳基 (만주방면)

지운산 池雲山 (만주방면)

차병욱 車炳郁 (만주방면)

채계복 蔡啓福 (노령방면)

채보선 蔡寶善 (3.1 운동)

천학진 千學振 (만주방면)

최대길 崔大吉 (3.1 운동)

최 봉 崔 烽 (만주방면)

최상을 崔祥鳦 (학생운동)

최시근 崔時根 (만주방면)

최용주 崔龍周 (국내항일)

최일규 崔日圭 (학생운동)

최필주 崔弼柱 (임시정부)

하성백 河聖伯 (3.1 운동)

한금복 韓金福 (만주방면)

한의철 韓義哲 (만주방면)

한창수 韓昌洙 (학생운동)

한청돌 韓靑乭 (의 병)

한청옥 韓淸玉 (만주방면)

함옥성 咸玉成 (국내항일)

현영권 玄永權 (3.1 운동)

홍장석 洪長錫 (만주방면)

홍택수 洪澤洙 (만주방면)

황의승 黃義承 (3.1 운동)

황인섭 黃仁攝 (3.1 운동)

황학성 黃學成 (만주방면)

◇ 건국포장 (24명)

강병수 姜炳修 (의 병)

강초근 康楚根 (학생운동)

강학수 康鶴洙 (3.1 운동)

김구락 金龜河 (3.1 운동)

김구하 梁春明 (국내항일)

김성묵 金成默 (국내항일)

김순태 金淳泰 (학생운동)

김은주 金恩周 (중국방면)

김일영 金一泳 (3.1 운동)

노태영 盧台寧 (중국방면)

박남순 朴南順 (학생운동)

박상점 朴相點 (학생운동)

박영식 朴榮植 (학생운동)

박영학 朴永鶴 (3.1 운동)

박응남 朴應南 (학생운동)

양덕하 梁德河 (만주방면)

윤동만 尹東萬 (3.1 운동)

이수동 李壽童 (학생운동)

이용운 李龍雲 (학생운동)

이지찬 李枝贊 (3.1 운동)

정성태 鄭成泰 (만주방면)

정순희 鄭順姬 (국내항일)

최창한 崔昌漢 (학생운동)

홍길남 洪吉南 (학생운동)

◇ 대통령표창 (115명)

강돌석 姜乭石 (의 병)

강두옥 康斗玉 (국내항일)

강서빈 康瑞彬 (학생운동)

강순봉 姜舜奉 (국내항일)

고쇠능 高釗能 (3.1 운동)

곽영옥 郭永玉 (학생운동)

권성오 權聖五 (3.1 운동)

김경보 金京甫 (미주방면)

김귀임 金貴任 (학생운동)

김금록 金錦錄 (학생운동)

김기성 金基成 (학생운동)

김대기 金大祺 (학생운동)

김두순 金斗淳 (3.1 운동)

김봉개 金鳳凱 (학생운동)

김봉기 金鳳紀 (3.1 운동)

김상윤 金相允 (3.1 운동)

김성애 金聖愛 (국내항일)

김성엽 金聖葉 (3.1 운동)

김성하 金晟河 (미주방면)

김순서 金順瑞 (3.1 운동)

김완묵 金完默 (국내항일)

김용인 金用仁 (국내항일)

김운배 金雲培 (3.1 운동)

김을용 金乙用 (3.1 운동)

김응태 金應泰 (국내항일)

김익호 金翼虎 (3.1 운동)

김인준 金仁俊 (3.1 운동)

김점래 金占來 (3.1 운동)

김준부 金俊富 (3.1 운동)

김창렬 金昌烈 (3.1 운동)

김형준 金亨俊 (국내항일)

김화춘 金和春 (의 병)

나명조 羅明祚 (3.1 운동)

남상호 南相好 (3.1 운동)

노국환 盧國煥 (학생운동)

노대근 盧大根 (국내항일)

노원효 盧元孝 (국내항일)

문경은 文京銀 (학생운동)

문종묵 文鍾默 (3.1 운동)

문홍식 文洪植 (국내항일)

민연순 閔年順 (학생운동)

박기순 朴基淳 (학생운동)

박명순 朴明順 (3.1 운동)

박순복 朴順福 (국내항일)

박재술 朴在述 (3.1 운동)

박정인 朴貞仁 (학생운동)

변동갑 邊東甲 (국내항일)

서봉수 徐奉洙 (3.1 운동)

서성수 徐聖洙 (3.1 운동)

송을생 宋乙生 (국내항일)

신성녀 申姓女 (3.1 운동)

신성업 申成業 (3.1 운동)

신옥봉 申玉鳳 (학생운동)

신윤선 辛潤善 (학생운동)

신형식 申亨植 (3.1 운동)

안태석 安泰錫 (국내항일)

양 봉 梁 鳳 (국내항일)

양원숙 楊元淑 (학생운동)

오말수 吳末守 (국내항일)

원인수 元仁水 (국내항일)

유병관 劉秉寬 (3.1 운동)

유성문 柳聖文 (의 병)

유성배 柳聖培 (3.1 운동)

윤죽산 尹竹山 (국내항일)

이강오 李康午 (국내항일)

이기숙 李起淑 (학생운동)

이동근 李東根 (3.1 운동)

이만훈 李晩勳 (학생운동)

이말용 李末用 (3.1 운동)

이문선 李文善 (3.1 운동)

이봉채 李鳳采 (학생운동)

이상쾌 李相快 (국내항일)

이세화 李世和 (3.1 운동)

이암이 李巖伊 (3.1 운동)

이영자 李英子 (학생운동)

이요습 李要習 (3.1 운동)

이용돈 李容敦 (3.1 운동)

이원식 李元植 (3.1 운동)

이자설 李滋卨 (3.1 운동)

이정오 李正五 (학생운동)

이존심 李存沁 (만주방면)

이태일 李泰一 (3.1 운동)

이희도 李熙道 (3.1 운동)

임복희 林福姬 (학생운동)

임주찬 任周燦 (3.1 운동)

임초색 林草色 (3.1 운동)

장순창 張順昌 (3.1 운동)

장우범 張禹範 (만주방면)

장윤희 張允禧 (국내항일)

장정출 張正出 (3.1 운동)

정갑생 鄭甲生 (학생운동)

정기현 鄭琪鉉 (학생운동)

정상봉 鄭相鳳 (3.1 운동)

정재기 鄭在麒 (3.1 운동)

정창선 鄭昌善 (3.1 운동)

정형규 鄭亨奎 (학생운동)

정흥신 鄭興信 (3.1 운동)

조신환 曺信煥 (국내항일)

진상직 陳相稷 (3.1 운동)

최능인 崔能仁 (국내항일)

최병진 崔炳鎭 (3.1 운동)

최봉원 崔鳳元 (국내항일)

최예진 崔禮鎭 (학생운동)

최이선 崔二善 (학생운동)

최종률 崔鍾律 (3.1 운동)

최창호 崔昌鎬 (학생운동)

최청용 崔靑用 (학생운동)

하경수 河敬洙 (3.1 운동)

한만석 韓萬錫 (학생운동)

한면석 韓冕錫 (3.1 운동)

허 정 許 楨 (3.1 운동)

현무생 玄戊生 (국내항일)

홍일선 洪鎰善 (3.1 운동)

황영연 黃永淵 (3.1 운동)

황의형 黃義馨 (3.1 운동)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