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중통)이 31일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미사일지침 종료에 대해 “고의적인 적대행위”라고 비난하는 논평을 발표했다.
<중통>이 공개한 ‘국제문제평론가 김명철’ 명의의 논평은 “무엇을 노린 ‘미사일지침’ 종료인가”라는 글에서 “이미 수차례에 걸쳐 ‘미사일지침’의 개정을 승인해 탄두중량제한을 해제한 것도 모자라 사거리제한 문턱까지 없애도록 한 미국의 처사는 고의적인 적대행위라고밖에 달리 말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명철은 “입으로는 대화를 운운하면서도 행동은 대결로 이어가는 것이 바로 미국”이라며 “지금 많은 나라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고안해낸 ‘실용적 접근법’이니, ‘최대 유연성’이니 하는 대조선정책 기조들이 한갖 권모술수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한·미 정상회담 개최 아흐레 만에 나온 북한의 첫 ‘공개 반응’이다. 그러나 북한 당국의 ‘공식 반응’으로 보기는 어렵다. 발언 주체를 그동안 대미 담화를 주로 발표해온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등 당·정의 고위 인사가 아닌 ‘국제문제평론가’를 내세웠기 때문이다. 김명철은 노동당 외곽단체인 ‘조미평화센터 소장’로 알려져 있다. 글의 구성에서 “국제사회와 남조선 내에서는” “지금 많은 나라들은” 따위의 북이 아닌 다른 주체의 의견을 전하는 방식을 다수 활용한 사실도, 북쪽이 특정 사안에 의견은 밝히되 공식 반응의 외양을 띠고 싶지 않을 때 자주 쓰는 방식이다. 의견 표명의 대상을 주로 ‘미사일지침 종료’ 사실에 한정한 것도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공식 반응으로 보기 어렵게 한다. 김명철의 이 글은 ‘인민의 필독 매체’인 노동당 중앙위 기관지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았다.
김명철은 “미국이 남조선의 미사일 ‘족쇄’를 풀어준 목적은 조선반도와 주변지역에서 군비경쟁을 더욱 조장해 우리의 발전을 저해하려는 데 있다”며 “우리 주변나라들을 겨냥한 중거리미사일 배비를 합법적으로 실현해보려는 미국의 속심”이라고 말했다. 한·미 미사일지침 종료는 미국이 중국·러시아를 겨냥한 중거리핵미사일을 한국에 배치하려는 사전 정지작업이라는 주장이다.
이어 김명철은 “미국과 남조선 당국이 침략야망을 명백히 드러낸 이상 우리의 자위적 국가방위력 강화에 대해 입이 열개라도 할 소리가 없게 됐다”며 “우리는 강대 강, 선대 선의 원칙에서 미국을 상대할 것이며 조선반도의 정세 격화는 우리를 위협하는 세력들의 안보불안정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철은 미사일지침 종료 사실을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해 실명은 직접 거론하지 않고 “남조선당국자”라 부르며 “설레발” “비루한 꼴” 따위의 비속어를 써가며 비난했다. 김명철은 “일을 저질러놓고는 죄의식에 싸여 이쪽저쪽의 반응이 어떠한지 촉각을 세우고 엿보고 있는 그 비루한 꼴이 실로 역겹다”고 주장했다.
다만 김명철은 “우리의 과녁은 남조선군이 아니라 대양 너머에 있는 미국”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중통>은 이 글을 영문으로 먼저 발표했다. 글이 염두에 둔 주된 대상은 한국이 아닌 미국이라는 방증이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