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통령, 막판점검 도중 북 핵실험 보고받아
두 정상 표정 어두워…대북 대응방안 집중논의
두 정상 표정 어두워…대북 대응방안 집중논의
한·일 정상회담 표정
9일 오후 열린 노무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은 이날 오전 돌출한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긴박하게 출렁거렸다.
이날 오전, 핵심 참모들과 함께 오후 3시로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막판 상황을 점검하던 노 대통령은 함경북도 지역에서 인공 지진파가 탐지됐다는 보고를 받고, 즉각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대책을 숙의했다. 노 대통령은 오후 5시30분 춘추관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발표 기자회견에서도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정부 대응 방안을 밝히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두 정상은 실제 오후 3시부터 열린 단독 정상회담에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 군대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뿐 아니라, 북한 핵실험 발표에 대한 공동대응 방안을 찾는 데 힘을 쏟았다. 애초 1시간30분으로 예정된 회담은 30분 이상 연장됐다. 그리고 북한 핵 문제는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차분하고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두 정상은 애초 두 나라의 주요 관심사였던 과거사 문제는 그동안 누적된 긴장관계를 푸는 단초를 마련하는 정도에 만족해야 했다. 노 대통령은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신사참배, 역사교과서 왜곡, 종군위안부 문제 등 (일본이) 구체적으로 해결할 몇가지 문제를 얘기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은 참배 중단에 대한 확답을 듣지 못했음을 간접적으로 전했다.
이날 저녁 청와대에 열린 아베 총리 환영 만찬에서도 노 대통령은 “두 나라는 서로 친구가 되지 않으면 불편할 수밖에 없는 숙명적 이웃”이라며 “과거사가 불거질 때마다 양국 관계는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제야말로 신뢰와 실천을 통해 이를 극복해야 한다”고 일본의 변화와 실천을 역설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답사를 통해 “남북 분단과 같은 어려운 현실에서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경제발전을 이룩했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착실하게 증진시킨 한국의 현대사를 경이롭게 지켜봤다”고 찬사를 보냈다. 그는 “양국은 이웃일 뿐 아니라, 동아시아라는 한집에 사는 가족”이라고 말했으나, 과거사에 대한 명시적인 답변은 피했다. 아베 총리의 답변은 “한-일 우호협력 관계를 더 높은 단계로 추진해 나가고 싶다”는 원론을 거듭 강조하는 선에서 멈춘 듯했다. 신승근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