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명 가량 용퇴 예고…실무인력은 보강 방침
외교통상부가 고위직 인사 대수술이 예고되면서 술렁이고 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22일 “외교부 조직은 고위직이 너무 많은 ‘과분수 형태’”라며 “조직 활성화를 위해 고위직 일부의 용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외교부에선 61살 정년을 채우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부처에선 52~53살이면 퇴직한다. 인사 적체로 국장급 승진도 다른 부처보다 4~5년 늦어지고 있다”며 상당한 규모의 고위직 퇴진 방침을 밝혔다. 외교부엔 그동안 퇴직을 앞두고 있는 고위직급 인사가 40여명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김호영 외교부 제2차관은 21일 ‘외교역량 강화를 위한 인사·조직 개선방향 설명회’를 주재했는데 그 방향도 여기에 맞춰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 외교관 출신의 인사·혁신 전문가인 김 차관은 고위공무원단 시행에 맞춘 외교부 고위직 간부들의 퇴직과 실무인력 보강이라는 조직 개편의 큰 틀을 제시했다. 김 차관은 고위직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외교 인력이 부족하고 재외공관도 부족하다며, 공무원이나 외부 전문인력을 채용해 실무인력을 보강하고 외환위기 때 폐지한 20여개 공관을 복원해 자원 외교와 교민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부처 의견을 수렴한 뒤 내년 초까지 관련 정책을 확정하고, 점진적으로 인사 개혁을 실시할 예정이다. 설명회에 참석했던 간부들은 조직 개편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너무 급작스럽게 추진되는 것 아니냐며 불안해하는 분위기다. 한 고위간부는 “매우 침통한 분위기이며, 고위직일수록 많이 힘들어 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한편에선 다른 부처와 달리 외교부가 대사로서 61살의 정년 또는 그 이상까지 ‘특혜’를 누려온 데 너무 익숙해 있었기 때문이라는 자성도 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