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왼쪽)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열린 한-유럽연합 통상장관회담에서 캐서린 애쉬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통상담당 집행위원과 인사한 뒤 의자를 빼주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통상장관회담 열려…자동차·원산지 등 대립
한국과 유럽연합(EU)의 자유무역협정(FTA)을 논의하는 양쪽 통상장관회담이 19일 이틀 일정으로 서울에서 시작됐다. 양쪽은 이번 회담에서 자동차, 원산지, 서비스 등 핵심 쟁점들에 대해 실질적인 타결을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양쪽이 핵심 쟁점에 대한 이견을 좁힐 경우 이르면 2월께 제8차 협상을 열어 한-유럽연합 에프티에이 타결을 공식 선언하게 된다.
김종훈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개회식 모두발언을 통해 “남은 쟁점이 쉽지 않지만 얼마나 열린 자세로 (협상에) 임하느냐가 중요하다”며 “양쪽이 문가에 와 있다. 문만 열면 새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캐서린 애쉬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통상담당 집행위원은 “이번 회담의 질이 중요한데 쉽지 않겠지만 정부나 산업계에서 열린 마음을 가진다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현재 남아 있는 쟁점은 △자동차 관세양허 조건 및 기술표준 △특혜관세 대상을 결정짓는 공산품 원산지 규정 △금융·법률·환경을 비롯한 서비스분야 개방 등 5개 정도로 알려졌다.
유럽연합은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철폐 기한을 7년으로 설정하자고 주장해 왔으며, 우리 쪽은 ‘즉시 철폐’를 원칙으로 하되 늦어도 3년 안에 모든 관세가 없어져야 한다는 뜻을 고수해 왔다. 양쪽은 이번에 최종 담판을 벌이게 된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