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반정부 시위로 `아세안+3' 회의 등 무산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3' 정상회의 참석차 태국을 방문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반정부 시위로 촉발된 태국 정국이 혼미를 거듭함에 따라 일정을 하루 앞당겨 11일 오후 조기 귀국길에 올랐다.
또 아세안과 한국, 중국, 일본이 참여하는 `아세안+3' 정상회의와 동아시아정상회의(EAS)는 전면 연기됐으며, 각국 정상들은 이날 중 전원 태국을 떠날 것 으로 알려졌다.
다자 정상회의가 개최국 내 시위로 무산돼 각국 정상이 서둘러 철수하 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청와대는 "태국 아피싯 웨차치와 총리가 비상상황을 선포했고, 각 국 정상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되 최대한 빨리 귀국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는 뜻을 전해 왔다"면서 "조기 귀국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이날 중국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와의 한 중 정상 면담, 일본 아소 다로(麻生太郞)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한.중.일 3개국 정상회의를 갖고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과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후속 대책 등 현안을 논의했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당초 오는 12일 오전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태국 반정부 시위로 하루 앞당겨 열렸다.
3국 정상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와 관련, 북 한에 강력한 목소리를 보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는 3국이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해 공동대응에 나설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향후 3국간 공조체제 구축 여부 및 구체적인 대응 방안이 주목된다.
김은혜 청와대 부대변인은 "3국 정상은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해 북한에 단합되고 강력한 목소리를 조속히 보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면서 "구체적인 형식과 문안은 유엔 안보리 실무자간 협의를 통해 확정 짓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아피싯 총리는 우타파오 국제공항에 미리 나와 있다가 조기 출국하는 이 대통령에게 "머무시는 동안 큰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며 사과의 뜻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괜찮다. 조만간 다시 볼 수 있도록 하자"면서 "6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때도 다시 뵐 수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에 앞서 지난 10일 열린 한-태국 정상회 담 후 이 대통령이 시위대의 봉쇄로 한동안 회담장인 로열클리프 호텔을 빠져나가지 못하자 태국 정부는 카싯 피로미야 외무장관을 보내 우리측에 공식 사과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파타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