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추가 협상 가능성과 관련해 "미측이 먼저 해법을 제시해야 하며 그 해법은 우리가 수용 가능하고 기존 이익의 균형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날 KBS1라디오와 가진 인터뷰에서 "합의된 협정문을 새로 쓰자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점을 미측에 분명히 했다"고 전제한 뒤 "협정문 밖에서 뭘 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는 결자해지의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 의회의 FTA 비준 동의 전망에 대해서는 "지금 4단기어를 넣어서 속도를 내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하반기가 되면 쇠가 벌겋게 달궈지는 시기가 오고 그 때가 되면 타이밍을 놓치지 않고 쇠를 두드려 모양을 만들어 보겠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어 "지금은 정제되지 않은 불만이 많은 것 같은데 5월말 GM 처리에 가닥이 잡히면 보다 정리된 상황에서 볼 수 있을 것"이라며 "혼란 속에서 해법을 찾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방미에서 론 커크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미 의원들을 만난 결과에 대해 "한미FTA가 경제적, 지정학적, 전략적으로 의미가 크다는 데 이의가 없었다"며 "시간문제일 뿐 반드시 비준 발효되겠지만 다만 경제위기 등 여러 상황이 있는 만큼 타이밍을 살피는 게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전했다.
김 본부장은 유럽연합(EU)과의 FTA에 대해서는 "이번 한.EU 정상회담에서 통상장관회의도 잡혀 있다"며 "지금은 '깔딱고개'인 것 같고 EU 내부에서 입장 정리에 시간이 걸리는 것 같은데, 넘을 수 있는 고개"라며 "그렇다고 막판에 조바심을 내는 것은 좋지 않으며 조금만 기다리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1차 협상이 진행중인 한.호주 FTA에 대해서는 "서로 이익이 있을 것"이라며 "다만 호주가 농업이 강한 나라인 만큼 축산이나 낙농은 적절한 보호방안을 강구하며 협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준영 기자 prince@yna.co.kr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princ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