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국가 중 처음…내년 1월 발효 추진
한국이 브릭스(BRICs) 국가로는 처음으로 인도와 자유무역협정(FTA) 격인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정식 서명, 12억 인구의 인도 거대 시장이 열리게 됐다.
한.인도 CEPA가 발효될 경우 한국이 인도에 수출하는 품목 및 수입액 가운데 85%의 관세가, 인도로부터의 수입은 품목 수 기준 93%, 수입액 기준으로 90%의 관세가 철폐되거나 인하된다.
외교부는 양국 통상장관의 정식 서명을 하루 앞두고 6일 오전 외교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상품 및 서비스교역, 투자, 경제협력 등에 대한 CEPA 협정 내용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협정 내용에 따르면 한.인도 CEPA 협정 발효 후 한국의 대(對) 인도 수출품인 자동차 부품, 철강 등 대부분의 관세가 8년내 철폐되거나 인하된다.
최대 수출품인 자동차 부품은 관세가 8년내 1~5%로 인하되며 냉장고는 8~10년내 50%가 감축되고 승용차는 양허 대상에서 제외됐다.
자동차 부품의 관세 인하는 인도 현지 완성차 업계 점유율 2위를 달리는 현대차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경쟁업체인 일본의 혼다와 도요타는 이미 인도와 FTA를 체결한 태국에서 무관세로 부품을 들여오고 있다.
그러나 평균 12.5%인 자동차 부품의 관세가 8년에 걸쳐 조금씩 인하되는 것이어서 기대했던 만큼의 실익이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한국은 인도 수입품 중 93%의 관세를 철폐하거나 인하할 계획이다. 그러나 쇠고기, 돼지고기, 갈치, 꽃게, 참깨, 등유, 경유 등 민감품목은 양허 대상에서 제외됐다.
원산지 규정과 관련, 한.미 FTA, 한.유럽연합(EU) FTA와 달리 개성공단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한국산으로 인정받게 됐다. 또 인도의 건축, 부동산, 의료, 에너지유통 등 서비스 분야가 추가 개방되고 양국의 공동제작 영화, 방송프로그램, 게임, 영상효과, 애니메이션 등이 양국에서 국내 제작물로 인정받게 됐다. 하지만 컴퓨터 전문가, 엔지니어, 경영컨설턴트, 영어보조교사, 자연과학자 및 광고전문가 등 양국 전문인력의 상호 진출 가능성이 열리게 되면서 인도 IT인력의 국내 대거 유입이 예상된다. 투자 부문에서는 제조업 전반에 걸쳐 네거티브 방식의 개방이 이뤄져 한국 기업의 인도 투자가 크게 자유화될 전망이다. 네거티브 방식은 미개방 분야를 지정하고 나머지는 완전히 개방하는 것이다. 이번 한.인도 CEPA 협정은 중국이나 일본보다 먼저 브릭스(BRICs) 국가중 처음으로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어서 선점 효과가 기대된다. 인도는 11억5천만명의 인구와 구매력 기준 세계 4위의 국내총생산(GDP)을 자랑하는 시장이다. 정부는 7일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과 아난드 샤르마 인도 상공장관이 정식 서명을 하면 오는 9월 정기국회에 비준동의안을 제출, 국회비준 동의를 거쳐 내년 1월 협정 발효를 추진할 계획이다. 양국은 2006년 3월 협상을 시작해 지난해 9월 제12차 협상에서 타결을 선언했으며 법률검토 작업을 거쳐 올해 2월에야 뉴델리에서 가서명을 마쳤다. 인도는 이미 의회 비준을 끝냈다. kaka@yna.co.kr 박상돈 기자 (서울=연합뉴스)
원산지 규정과 관련, 한.미 FTA, 한.유럽연합(EU) FTA와 달리 개성공단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한국산으로 인정받게 됐다. 또 인도의 건축, 부동산, 의료, 에너지유통 등 서비스 분야가 추가 개방되고 양국의 공동제작 영화, 방송프로그램, 게임, 영상효과, 애니메이션 등이 양국에서 국내 제작물로 인정받게 됐다. 하지만 컴퓨터 전문가, 엔지니어, 경영컨설턴트, 영어보조교사, 자연과학자 및 광고전문가 등 양국 전문인력의 상호 진출 가능성이 열리게 되면서 인도 IT인력의 국내 대거 유입이 예상된다. 투자 부문에서는 제조업 전반에 걸쳐 네거티브 방식의 개방이 이뤄져 한국 기업의 인도 투자가 크게 자유화될 전망이다. 네거티브 방식은 미개방 분야를 지정하고 나머지는 완전히 개방하는 것이다. 이번 한.인도 CEPA 협정은 중국이나 일본보다 먼저 브릭스(BRICs) 국가중 처음으로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어서 선점 효과가 기대된다. 인도는 11억5천만명의 인구와 구매력 기준 세계 4위의 국내총생산(GDP)을 자랑하는 시장이다. 정부는 7일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과 아난드 샤르마 인도 상공장관이 정식 서명을 하면 오는 9월 정기국회에 비준동의안을 제출, 국회비준 동의를 거쳐 내년 1월 협정 발효를 추진할 계획이다. 양국은 2006년 3월 협상을 시작해 지난해 9월 제12차 협상에서 타결을 선언했으며 법률검토 작업을 거쳐 올해 2월에야 뉴델리에서 가서명을 마쳤다. 인도는 이미 의회 비준을 끝냈다. kaka@yna.co.kr 박상돈 기자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