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프리카연합 ‘서울선언’ 채택
연수생 5천명 초청…자원봉사자 1천명 파견
연수생 5천명 초청…자원봉사자 1천명 파견
정부는 오는 2012년까지 대(對) 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작년 대비 두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아프리카 연합(AU.African Union) 소속 15개국 장관과 수석대표들은 24일 오전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2회 한.아프리카 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선언 2009'를 채택했다.
작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대 아프리카 개발원조 규모는 무상원조 7천400만 달러, 유상원조 3천400만 달러 등 총 1억800만 달러에 이른다.
이와 관련, 유명환 장관은 이날 포럼에 앞서 열린 장관급 회의 모두발언에서 "앞으로 개발경험 공유와 역량강화에 초점을 두고 아프리카의 특수사정에 적합한 '맞춤형 지원'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서울선언에서 "(대 아프리카 개발원조가) 사회.경제지원에 초점을 둠과 동시에 지구적 도전이 야기되는 부문을 식별해내 수자원 고갈, 경작지 축소, 사막화에 일조하고 있는 식량위기와 기후변화와 같은 사안에 집중할 것에 합의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양측이 유엔헌장과 일반적인 승인된 국제법의 원칙에 기반해 상호이익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빈곤, 대량살상무기, 테러, 기후변화, G20(주요 20개국), 온실가스 감축 등 범세계적 이슈들에 대한 공동대응 노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특히 G20이 세계 경제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논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한국이 내년 G20 의장국으로서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가교역할을 맡아 빈곤감소와 개발협력에 기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정부와 아프리카 연합은 또 서울선언의 부속문서로서 개발협력 정책문서를 채택,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아프리카인 연수생 5천명을 초청하고 아프리카 협력국가에 대한 해외봉사단(World Friends Korea)을 1천명 이상 파견하기로 했다.
이어 도로와 저장시설 등 아프리카의 농촌인프라 구축과 농업기술 현대화에 집중 지원함으로써 농업생산성 향상과 수확량 증대를 도모하고 '포괄적 아프리카 농업개발 프로그램(CAADP) 등 아프리카 주도의 프로그램에 협력하기로 했다. 양측은 이와함께 국제보건기구 참여를 통한 다자간 협력을 통해 말라리아, 결핵, HIV/AIDS를 비롯한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아프리카의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양측은 녹색성장 협력 정책문서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비전을 공유하고 ▲저탄소 녹색성장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정책포럼 정례 개최 ▲환경인력개발원 등 환경전문 교육기관의 아프리카 공무원 초청연수 확대 방안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양측은 앞으로 3년마다 포럼을 갖기로 하고 차기 포럼은 2012년 개최하기로 했다. 노효동 유현민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어 도로와 저장시설 등 아프리카의 농촌인프라 구축과 농업기술 현대화에 집중 지원함으로써 농업생산성 향상과 수확량 증대를 도모하고 '포괄적 아프리카 농업개발 프로그램(CAADP) 등 아프리카 주도의 프로그램에 협력하기로 했다. 양측은 이와함께 국제보건기구 참여를 통한 다자간 협력을 통해 말라리아, 결핵, HIV/AIDS를 비롯한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아프리카의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양측은 녹색성장 협력 정책문서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비전을 공유하고 ▲저탄소 녹색성장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정책포럼 정례 개최 ▲환경인력개발원 등 환경전문 교육기관의 아프리카 공무원 초청연수 확대 방안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양측은 앞으로 3년마다 포럼을 갖기로 하고 차기 포럼은 2012년 개최하기로 했다. 노효동 유현민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