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첩보활동 혐의로 한국 요원 추방
주리비아 한국대사관 소속 국가정보원 요원이 북한 관련 정보 수집 활동을 하다가 지난달 18일 리비아에서 추방돼 귀국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한국 정부는 이 문제로 불거진 리비아 정부와의 외교 갈등을 해결하려고 지난 6~13일 이상득 한나라당 의원을 대통령 특사로 파견해 1차 협상을 벌였고, 지난 20일 국정원 대표단을 현지에 파견해 추가 협상을 벌이고 있다. 리비아 정부가 지난달 24일부터 주한국 리비아경제협력대표부의 영사 업무를 공식통보 없이 중단하고, 지난달 15일 리비아대학 4학년생인 한국인 선교사 고아무개씨를 종교법 위반 혐의로 체포해 조사하고 있는 것 등도 최근 양국 외교 갈등과 관련한 ‘외교적 항의’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한-리비아 관계에 밝은 외교소식통은 27일 “주리비아대사관 정보업무 담당 직원의 활동이 리비아의 국가안보에 위해를 가했다는 이유로 리비아 정부로부터 지난달 15일 ‘페르소나 논 그라타’(기피인물) 통보를 받아, 지난달 18일 귀국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해당 직원은 리비아 안에서 북한 관련, 방위산업 관련 합법적인 정보 수집 활동을 해왔는데, 리비아 정부 쪽에서 오해를 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리비아의 일간 <아크바르 리비아>는 현지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한국 정보기관원이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와 가족들에 대한 정보 수집 활동 등 통상적인 범위를 넘어선 정보 수집 활동으로 문제가 됐다”며 “리비아 보안당국이 3개월간 미행한 끝에 체포해 엿새 동안 조사한 뒤 지난달 18일 추방했다”고 27일 보도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 사안이 양국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원만한 조기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정부는 올해 수교 30돌을 맞은 한-리비아 우호협력관계가 지속적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리비아 정부는 지난달 15일 체포한 한국인 선교사 고씨 및 고씨에게 자금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지난 17일 체포된 현지 한국인 농장주 주아무개씨도 추방된 국정원 요원의 정보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그 배후에 미국 정부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외교소식통은 “주리비아대사관 직원의 추방 문제와 선교사 체포건은 별개의 사안”이라고 말했다.
리비아는 지난해 한국 기업의 건설수주액이 31억달러로 ‘제4위 건설시장’을 차지하고 있어 이번 사태가 원만히 마무리되지 않을 경우 양국 경제협력에 상당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