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0일 간 나오토 일본 총리의 ‘식민지 지배 사과 담화’에 대해 “과거보다 진일보했다”고 긍정 평가했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과거에 나온 담화문에 비해 한국을 특정하고 병합의 강제성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며 문화재 반환 등의 구체적 액션이 나온 것은 좋은 시작이라고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8·15 광복절 경축사에 간 총리 담화에 화답하는 미래지향적 메시지를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나온 정부 공식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논평은 “한-일간의 불행했던 과거사를 극복하고 미래의 밝은 한-일관계를 개척해 나가려는 간 총리와 일본 정부의 의지로 받아들인다”며 “정부는 간 총리가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한국인의 의사에 반해 이루어졌다고 표명한 점에 주목하며, 이러한 인식을 모든 일본 국민들이 공유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일부 진전된 부분은 있지만 구체적 조처에서 미흡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안형환 한나라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과거보다 진일보한 노력으로 평가하지만 ‘강제병합조약의 불법성’과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 동원 문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는 점은 미흡하다”고 말했다. 전현희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한일병합에 대한 원천무효 선언이 빠졌고 강제징용, 원폭피해자, 위안부 문제 등 일제식민시기에 벌어진 수많은 희생과 관련한 부분이 완전히 빠졌다”고 밝혔다. 박선영 자유선진당 대변인과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교과서 왜곡 중단 등을 일본에 촉구했다. 손원제 황준범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