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담당과 1개서 2개로
“우호단체 등 창구도 다양화”
“우호단체 등 창구도 다양화”
정부가 천안함 사건으로 불거진 한-중 갈등을 해소하고,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려고 대중국 외교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외교통상부 고위당국자는 20일 기자들과 만나 “중국과의 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중국 담당 과를 (현재 1개에서) 하나 더 늘리고 실무인력을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이 고위당국자는 “한-중 우호협회와 같은 반관반민(1.5 트랙)의 외곽단체를 만들어 대중국 외교를 지원하도록 하는 등 창구를 다양화하겠다”며 “현재 총리실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천안함 사건에 대한 원인과 대응 방향을 놓고 한-중 양국은 지난 4월 중순부터 적잖은 마찰을 빚어왔으며, 일부 정부 당국자와 전문가들은 중국의 세계적인 위상 변화와 대북정책의 실효성 확보 및 심화된 한-중 경제교류 등에 비춰 이런 대중정책 기조에 우려를 표명해왔다. 영토 분쟁으로 일본 및 남중국해 등에서 대립하고 있는 중국 정부도 ‘우군 확보’ 차원에서 최근 외교 경로를 통해 ‘한국과 오해를 풀고 싶다’는 의사를 한국 정부에 보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당국자는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해 “북한이 과거 6자회담 과정에서 국제사회로부터 받은 중유 75만t만큼은 불능화를 이행하겠다는 성의를 보이고 구두약속을 한다면 6자회담 재개에 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인 ‘성의 표시’ 내용과 관련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을 복귀시키거나 핵시설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선언해야 한다”며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