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정적 뜻 밝혀
한반도 정세가 협상국면으로 이동하면서 미국의 대북한 식량지원 재개 가능성이 계속 거론되고 있다.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8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면담 뒤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 문제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많은 이슈에 대해 얘기했다”고 대답해, 이 문제가 거론됐음을 부인하지 않았다.
그러나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 정부의 대북 식량지원 재개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묻자 “현재 미국은 식량지원 계획이 없다는 것”이라며 “(한국 정부가) 답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또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이 지난해 11월 (북한에서 식량) 50만t이 부족할 것이라 평가했다”며 “이는 예년 수준과 유사하다는 게 당시 평가였다”고 소개했다. 북한에 긴급히 식량지원을 할 필요성이 없다는 뜻으로,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 재개 가능성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아직 미국 정부가 식량지원을 결정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대화와 논의가 진행중에 있다”고 보도했다. 세계식량계획 로마 본부의 프랜시스 케네디 대변인도 식량농업기구(FAO)와 함께 10일부터 한달 동안 북한의 식량 상황을 합동조사하는 것과 관련해 “북한의 극도로 혹독한 겨울 추위가 식량안보 상황에 대한 새로운 우려들을 야기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7일 보도했다. 이런 움직임들을 근거로 미국이 6자회담이 재개되고 북-미 관계가 개선되면 인도적 지원을 하기 위해 사전 준비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별도로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10~11일 중국을 방문해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 등과 북한·북핵 문제 현황 및 향후 대응 방안 등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외교부가 이날 밝혔다. 양국은 북한 우라늄농축 프로그램(UEP) 문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논의 여부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