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계자 “‘우라늄 회부’ 때문인 듯”…캠벨과 만남 성사안돼
북한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중국 방문은 북한의 필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정부 고위 당국자가 8일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을 움직여보겠다고 중국이 김 제1부상을 부른 것 같지는 않다”며 “북한 우라늄농축프로그램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문제 협의) 등 북한의 수요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우라늄농축프로그램의 안보리 의제 상정 가능성에 대해 “불가능하지 않다”며 “공개되지 않을 뿐이지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심을 모았던 김 제1부상과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의 만남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미국 국무부가 이날 밝혔다. 김 제1부상과 캠벨 차관보는 7일 동시에 베이징을 방문해, 직·간접 북-미 대화가 이뤄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불렀다. 그러나 두 사람이 직접 만나진 않았더라도 중국을 통해 간접적으로 의견을 조율했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김 제1부상의 이번 방중에는 최선희 미국국 부국장 등 북한 외무성 미국국 소속 인사들이 수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제1부상은 7일 밤 베이징 시내 호텔 국제구락부에서 양제츠 중국 외교부 부장과 만나 4시간여에 걸쳐 만찬과 회담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제1부상은 이날 중국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도 회담하면서, 한반도 평화·안정과 6자회담 재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8일 밝혔다.
손원제 기자,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