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도 입장변화 보여
“직접사과 이외 방식도 고려”
“직접사과 이외 방식도 고려”
미국 국무부는 18일(현지시각)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가 6자회담의 전제조건은 아니라고 밝혔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대화재개를 위해 천안함, 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가 전제돼야 하느냐’는 물음에 “대화를 위해 북한이 천안함 사건에 대해 사과해야만 한다고 말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가 북한과의 대화 재개와 관련해 ‘북한이 천안함 사건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말한 적 없다’라고 명시적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이를 두곤 최근 6자회담의 첫 단계인 비핵화 남북회담 성사를 앞두고 청와대를 중심으로 한 한국 정부 일각에서 ‘북한의 분명한 사과를 받아야 6자회담 재개가 가능하다’는 강경 기류가 대두하는 데 대해 일정한 선을 그은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19일(한국시각)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천안함·연평도에 대한 북한의 사과가 6자회담에 앞선 남북대화의 전제냐’는 질문에 “(일반적 남북대화와) 6자회담을 전제로 한 (비핵화) 남북대화를 하는 것은 좀 달리 봐야 한다”며 “진정성을 확인하는 수준의 모색을 포함해 다양한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원 원장은 ‘직접 공개 사과 이외에 비공식 사과나 충돌에 대한 유감 표명 등 다양한 방식을 열어놓은 것으로 해석해도 되느냐’는 추가 질문에 “그렇다”고 확인했다고 정보위 민주당 간사인 최재성 의원이 전했다.
손원제 기자,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