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회원들이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정부중앙청사 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다웨이 중국 6자회담 수석대표의 방한과 카터 전 미국 대통령 방북에 맞춰 북핵 문제 해결과 북한 식량지원을 위한 남·북 6자 회담 수석 대표회담을 촉구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방북단, 27일 평양서 김정일 만날 가능성 커
북, 핵문제 등 ‘전향적 메시지’ 던질지 관심
북, 핵문제 등 ‘전향적 메시지’ 던질지 관심
카터 북으로, 우다웨이 남으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과 중국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의 방한이 26일 동시에 이뤄졌다. 북-중, 미-중, 한-미를 오가던 다양한 외교적 흐름들이 카터 전 대통령과 우 대표를 매개로 한 남북 사이 간접 소통으로 집약되는 형국이다. 이들이 한반도에 머물 29일까지의 나흘이 주목받고 있다.
카터 전 대통령과 마르티 아티사리 전 핀란드 대통령, 그로 할렘 브룬틀란 전 노르웨이 총리, 메리 로빈슨 전 아일랜드 대통령 등 ‘디 엘더스’ 회원들은 이날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박의춘 북한 외무상을 만났다고 <조선 중앙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외무상 박의춘은 전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를 단장으로 하는 엘더스 대표단을 만나 담화했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전하지 않았다. 박 외무상은 이어 디 엘더스 대표단을 위한 연회도 개최했다.
앞서 이날 오전 순안공항에서는 카터 전 대통령 일행을 리용호 외무성 부상이 영접했다. 지난해 승진한 이 부상은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에 이어 북한의 6자회담 수석대표를 맡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물이다.
카터 전 대통령 일행은 2박3일의 방북 기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김 위원장은 인민군 창건 79주년(4·25)을 맞아 김정은과 함께 공훈국가합창단의 경축공연을 관람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한 데 비춰, 평양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 당국자는 “그동안 사례로 볼 때 26일보다는 27일 만찬에서 김 위원장을 만날 걸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카터 전 대통령을 통해 북한 핵 문제와 남북관계에 관해 전향적 대외 메시지를 던질지가 이번 방북의 핵심 관전 포인트다. 천안함·연평도 사태에 대한 유감 표명이나 비핵화 남북회담 제안,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복귀 등의 폭발력 있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대화 국면으로의 전환이 급물살을 탈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정부 당국자들은 북한이 실질적인 전향적 카드를 내놓을 가능성은 희박하다며 선을 긋고 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이와 관련해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굳이 제3자를 통해 우리와 얘기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미리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 의미를 축소하고 나섰다. 북한이 진정성을 갖고 있다면 ‘우회로’를 타지 말라는 경고인 것이다.
정부는 6자회담에 앞서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에 대한 확인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태도이다. 김 장관은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선 북한의 비핵화를 통한 진정성있는 태도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정부의 태도에 비춰 볼 때, 카터 전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면담을 통해 남북관계나 비핵화와 관련된 실질적인 제안을 들고 오더라도 정부에서 덥썩 받아들일지는 미지수이다. 정부에 비핵화 진정성 확인을 위한 남북회담과 천안함·연평도 사과를 연계해야 한다는 시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어렵사리 비핵화 남북회담이 열려도 자칫 사과 문제로 삐걱거릴 우려가 많은 배경이다. 손원제 기자,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wonje@hani.co.kr
정부는 6자회담에 앞서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에 대한 확인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태도이다. 김 장관은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선 북한의 비핵화를 통한 진정성있는 태도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정부의 태도에 비춰 볼 때, 카터 전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면담을 통해 남북관계나 비핵화와 관련된 실질적인 제안을 들고 오더라도 정부에서 덥썩 받아들일지는 미지수이다. 정부에 비핵화 진정성 확인을 위한 남북회담과 천안함·연평도 사과를 연계해야 한다는 시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어렵사리 비핵화 남북회담이 열려도 자칫 사과 문제로 삐걱거릴 우려가 많은 배경이다. 손원제 기자,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wonje@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