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수해지원 의사도 밝혀
이산가족 서한 교환도 합의
이산가족 서한 교환도 합의
최근 고위급 북-미 대화가 이뤄진 데 이어 미국이 한국전쟁 때 전사한 군인 유해 발굴을 재개하기 위한 회담을 북한에 제의하고, 미 국무부가 대북 수해지원 의사를 비치는 등 양국 사이 대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에이피>(AP) 통신은 6일(현지시각) 미 국방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미군이 지난 2일 전사 군인 유해 발굴 회담을 제의하는 서신을 북한에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아직 답변을 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미국은 북한과 공동으로 1996년부터 평안북도 운산과 함경남도 장진호 인근 두 곳에서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을 하다 2005년 5월 북핵 갈등으로 중단했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인도주의적’ 사업인 미군 유해발굴을 6자회담 재개와 연계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어왔다. 그러나 유해발굴 문제는 북-미관계가 호전될 때마다 거론돼 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북한은 인도적 명분과 달러 수입 확보 등의 이유로 미군 유해 발굴에 적극적이었다.
미 국무부는 또 5일 대변인실 명의로 배포한 자료를 통해 “북한의 최근 수해 문제를 주시하고 있다”며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모니터링 하에서의 긴급 대북 인도적 지원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으로부터 수해지원 요청이 올 경우 철저한 모니터링을 전제로 의약품과 생필품 등 긴급한 인도적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4월엔 뉴욕 주재 북한 유엔 대표부와 미국 적십자사 간에 ‘재미 이산가족의 서한 시범 교환’에 합의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적십자사 관계자는 7일 “양쪽이 ‘적십자를 통한 메시지 교환’ 방식으로 시범적으로 이산가족 간 서한 교환을 추진하고 이후에 상봉을 논의해보기로 했다”며 “그러나 상봉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는 논의가 되지 않았고, 실제 합의가 이행됐는지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최근 고위급 북-미 대화에선 로버트 킹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과 만나 이산가족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간단하게 언급했으나, 상봉 등에 대한 합의는 없었다고 정부 당국자가 전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손원제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