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나이 ‘아세안포럼’ 참석
북의 대화제의·비핵화 협의
북의 대화제의·비핵화 협의
한·미·일 세 나라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동안인 오는 7월1일 브루나이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열어 북한 핵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28일 외교부가 밝혔다. 이번 회담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뒤 처음 열리는 세 나라 외교장관 회담이다.
이번 회담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최근 북한의 잇따른 대화 제의에 대한 대응 방안과 북한의 비핵화 진전 방안을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 나라는 북한의 대화 제의와 관련해 ‘무조건적인 대화는 할 수 없으며, 비핵화를 위한 북한의 사전 조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앞서 세 나라의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지난 19일(현지 시각) 워싱턴에서 만나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2·29 합의+알파(α)’를 제시했다. 이는 북한과의 대화에 앞서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 능력의 개선과 군사적 도발 행위를 중단하는 사전 조처를 취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문제는 북한에 가장 영향력이 큰 중국의 태도다. 중국은 위의 세 나라와 달리 북한의 사전 조처를 요구하지 않고 있으며, 자신의 요구에 따른 북한의 대화 제의를 국면 전환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태도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7일 한-중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6자회담을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북한이 세 나라의 ‘사전 조처’ 요구와 중국의 ‘조속한 6자회담 개최’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가 관건으로 보인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2002년엔 ‘통일조국’ 외치고 한반도기 흔들라더니…
■ 김재원 ‘형님’ 휴대폰 문자에 누리꾼들 “조폭 영화 찍나?”
■ 국민 53% “노무현 발언, ‘NLL 포기’ 아니다”
■ 강용석 전 의원은 왜 ‘예능인’을 자처하나
■ [화보] 중국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
■ 박 대통령, 2002년엔 ‘통일조국’ 외치고 한반도기 흔들라더니…
■ 김재원 ‘형님’ 휴대폰 문자에 누리꾼들 “조폭 영화 찍나?”
■ 국민 53% “노무현 발언, ‘NLL 포기’ 아니다”
■ 강용석 전 의원은 왜 ‘예능인’을 자처하나
■ [화보] 중국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