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산가족 20~25일 상봉] 박근혜 정부 이산상봉 우여곡절
박근혜 정부 들어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남북간 신경전 탓에 우여곡절을 겪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행사 개최 직전에 금강산 관광 재개라는 암초에 걸려 무산됐다.
애초 물꼬는 북한이 텄다. 북한은 지난해 7월10일 “17일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 19일 이산가족 상봉 적십자 실무회담을 금강산이나 개성에서 열자”고 제의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회담만 수용하고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은 “개성공단 실무회담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부적절하다”며 거부했다. 이튿날 북한도 제안을 모두 철회했다.
불씨는 박근혜 대통령이 한달 뒤인 8·15 광복절에 추석 전후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하면서 되살아났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을 함께 열자”는 북한의 역제안에 정부는 계속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연계하겠다는 방침을 명백히 하자, 정부는 마지못해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을 수용했다. 이에 따라 남북은 8월23일 열린 실무접촉에서 ‘9월25~30일 이산가족 상봉’과 ‘10월22~23일 이산가족 화상 상봉’에 합의했다.
그러나 나흘 뒤인 8월27일 정부는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을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끝난 뒤인 10월2일로 연기해 다시 찬물을 끼얹었다. 이 일로 이미 합의된 이산가족 상봉이 삐걱대기 시작했다. 남쪽은 비교적 시설이 좋은 외금강호텔과 금강산호텔을 숙소로 요구했으나, 북쪽은 해금강호텔과 현대생활관을 고집했다. 결국 북한은 행사를 나흘 앞둔 9월21일 남쪽 언론의 보도와 군의 강경 발언 등을 이유로 상봉 행사를 무기한 연기했다.
박 대통령이 1월6일 설 전후 이산가족 상봉을 다시 제의하면서 기회가 왔다. 처음에 “좋은 계절에 마주앉자”며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던 북한은 1월24일 태도를 바꿔 행사 시기를 “남쪽이 편리한 대로 정하라”며 제안을 수용했다. 정부는 2월17~22일을 상봉 날짜로 제의했다. 결국 남북은 5일 실무접촉에서 상봉 행사 일정에 최종 합의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