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하기 위해 4일 오전 출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 고노담화 검증’ 맞불 성격
오늘 제네바 ‘인권이사회’ 기조연설
장관 직접참석 발언은 8년만에
오늘 제네바 ‘인권이사회’ 기조연설
장관 직접참석 발언은 8년만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5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직접 제기하기로 했다. 외교부 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에 직접 참석해 발언하는 것은 2006년 반기문 전 장관 이후 8년 만이다. 외교부는 4일 자료를 내어 “윤 장관이 제네바에서 열리는 제25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4~6일간 참석해 국제 인권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과 기여 의지를 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 “윤 장관이 5일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인류 보편적 인권 이슈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고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보고서 등에 대한 평가와 입장을 밝힐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애초 윤 장관의 참석을 검토하다가 막판에 이를 철회했다가, 다시 참석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결정은 최근 일본이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검증하겠다고 밝히는 등 일본의 과거사 도발이 지나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정부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주로 외교부 차관이나 실장급인 다자외교조정관을 보내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인권이사회에서 상당히 중요한 안건들이 다뤄진다는 점에서 장관이 참석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윤 장관이 직접 참석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윤 장관은 기조연설을 통해 올바른 역사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해결과 일본의 법적 책임 인정과 배상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우리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생각하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도 언급한 바 있으니, 윤 장관도 그에 걸맞게 비중 있게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고노 담화’ 수정 움직임 등을 겨냥해 “과거 역사를 부정할수록 초라해지고 궁지에 몰리게 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윤 장관은 또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의 최근 보고서를 거론하며 북한 인권 상황의 개선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강조할 예정이다. 윤 장관은 이번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한 뒤 나비 필레이 유엔 인권최고대표와 피터 마우러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총재 등도 면담할 계획이다. 이번 유엔 인권이사회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해 약 50여 개국의 외교장관이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