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대일관계 발언
“내년을 새로운 미래 출발 원년으로”
일에 올해안 해법제시 메시지 보내
“내년을 새로운 미래 출발 원년으로”
일에 올해안 해법제시 메시지 보내
박근혜 대통령은 이번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 관계의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원칙적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이전보다 다소 누그러진 태도를 보였다.
박 대통령이 이날 밝힌 대일 메시지는 올해 3·1절 기념사의 기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박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이제 쉰다섯분밖에 남지 않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상처는 당연히 치유받아야 한다”며 일본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번 경축사에서도 박 대통령은 과거사의 상처 치유 필요성을 언급하며 “이런(위안부) 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할 때 한-일 관계가 건실하게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본에 과거사 해결을 촉구하는 어조는 지난해 8·15 경축사, 3·1절 기념사 등과 견줘 비교적 부드러워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3·1절 기념사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역사적 입장은 천년의 역사가 흘러도 변할 수 없다”며 결기를 내보인 바 있다. 반면 이번 광복절 경축사에서는 일본의 지혜와 결단을 “기대한다”고 에둘러 표현하는 방식을 택했다. 아베 신조 총리 등 일본 지도부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도 삼갔다. 과거사 문제에 대한 원칙적 입장을 밝히면서도 그렇지 않아도 상처투성이인 한-일 관계를 덧낼 필요는 없다는 뜻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이번 경축사에서도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은 내놓지 않았다. 과거사 문제 해결이 한-일 관계 개선의 첫걸음이고, 이를 위해 일본이 먼저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는 인식에 변화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특히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인 내년을 ‘새로운 미래를 향해 함께 출발하는 원년’이라고 지칭한 것은, 한-일 관계 개선을 원한다면 올해 안에 위안부 관련 해법을 제시하라는 메시지를 보내 일본 정부를 압박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