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스 미 국무부 부장관 면담뒤
“아직 정확한 윤곽은 안나와”
미 요청땐 비전투병 지원할수도
“아직 정확한 윤곽은 안나와”
미 요청땐 비전투병 지원할수도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6일(현지시각) 미국이 주도하는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과 관련해 우리 정부가 군사적 지원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 실장은 이날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윌리엄 번즈 미 국무부 부장관과 면담한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의 지원 범위와 관련해 “원칙적으로 인도적 지원 범위로 해서 검토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김 실장은 미국 쪽으로부터 군사적 차원의 지원 요청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아직 군사적 차원에 대한 정확한 윤곽은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앞으로 미국 쪽의 요청에 따라 인도적 차원을 넘어서는 군사적 차원의 지원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전날 김 실장을 만난 자리에서 이슬람국가 격퇴 문제를 자세히 설명하면서 우리 정부의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두 사람은 이슬람국가와 같은 새로운 도전에 대해 앞으로 긴밀한 협의를 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외교소식통들의 말을 종합하면, 현재까지 미국 쪽은 우리 정부에 인도적 차원의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파악된다. 아직까지는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이 이슬람국가에 대한 공습 작전만 하고 있는 현 상황과 관련이 있다. 외교소식통은 “미국이 공습 작전만 할 경우 우리 정부가 군사적 차원에서 지원할 부분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동 국가라면 훈련기지를 제공하거나 공습에 동참할 수도 있지만 우리는 그럴 처지가 못 된다는 얘기다. 그러나 앞으로 미국의 이슬람국가 격퇴 작전이 확대되면서 군사적 차원의 지원 요청이 있을 수 있다. 이슬람국가의 시리아 근거지에 대한 지상작전을 담당할 시리아 반군에 대한 훈련을 지원해달라고 할 수도 있다. 특히, 미 지상군이 투입될 경우에는 수송·의료·공병 등 비전투병 지원을 요청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이용인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