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주한 일본대사관 주최로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서 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가 우리말로 인사하자 박수를 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서울·도쿄서 열린 수교 50년 기념행사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2일 주한일본대사관과 주일한국대사관이 각각 서울과 도쿄에서 마련한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연회)’에 나란히 참석해 한-일 관계 개선의 전망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두 도시에서 열린 연회는 전날 도쿄에서 열린 양국 외교장관 회담으로 한발짝 다가선 양국 관계를 보여주듯 시종일관 화기애애한 분위기였으며, 화해를 상징하는 여러 행사들도 진행됐다.
주한일본대사관이 이날 저녁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주최한 연회는 서울의 일본인학교 학생들과 서울시 소년소녀합창단이 가장 먼저 등장해 합창을 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합창단은 우리 노래는 일어로, 일본 노래는 우리말로 부분 개사해 불렀는데, 수년째 어긋나 불협화음을 낸 양국 관계를 협력과 화합으로 이끌자는 의미를 담았다는 게 주최 쪽의 설명이다.
주한 일본대사관에선
일본 학생들·서울 소년소녀합창단
우리말·일본어로 번갈아 합창 주일 한국대사관에선
가야금 장구 등 전통악기 공연
행사장 밖에선 일 우익들 항의집회 식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는 이날 행사 인사말에서 행사장에 설치된 병풍을 소개하며 “50년 전 서울에서 일-한 기본조약 비준서를 교환할 당시 기념으로 제작된 2개의 병풍 중 하나”라고 소개하며 “50년 전 사용된 뒤 하나는 도쿄의 주일한국대사관에, 하나는 주한일본대사관에 기증됐다”며 국교 50주년의 의미를 환기시켰다. 벳쇼 대사의 인사말에 이어 축사에 나선 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와 관련해 “신의보다 의지할 만한 것은 없다는 말처럼 양국 국민들 간 신뢰와 우의를 쌓아나가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대독한 축사에서는 같은 대목을 ‘무신불립’(無信不立)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서청원 한일의원연맹 회장과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등이 박 대통령과 함께 참석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이날 행사 참석을 위해 방한한 누카가 후쿠시로 일한의원연맹 회장을 청와대에서 접견했다. 누카가 회장은 “중요한 이웃 관계인 양국이 앞으로도 손잡고 양국 관계의 가일층 발전을 위해 노력해 나가기를 바란다”는 아베 총리의 메시지를 박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이제는 양국이 서로 간의 입장 차이를 해소하고, 공동의 이해를 확대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양국이 화해와 협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아베 총리가 1965년 이후 일본 역대 내각이 견지해온 인식을 확실히 계승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주일한국대사관 주최로 열린 일본의 기념 리셉션은 도쿄 미나토구 쉐라톤미야코호텔에서 진행됐다. 행사 참석을 전격적으로 결정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연회에서 “오늘 국회에서 결산위원회가 있었지만 한-일 관계를 중시하는 여야 의원들의 협조로 올 수 있었다. 앞으로도 (국회 일정에서) 이런 배려를 부탁드린다”는 농담으로 분위기를 풀었다. 아베 총리는 연설을 마친 뒤 ‘감사합니다’라는 한국말로 마지막 인사도 남겼다. 아베 총리의 연설이 끝난 뒤 윤병세 장관이 박근혜 대통령의 메시지를 대독할 땐 전방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서 양국 정상이 여러 다자회의에서 반갑게 인사를 주고받은 사진 자료가 공개되기도 했다. 아베 총리는 메시지를 낭독하고 박 대통령의 답사를 들은 뒤 행사장을 떠났다. 앞서 이날 행사는 가야금·장구·대금 등 한국 전통악기 공연에 이어 유흥수 주일대사의 개막 인사와 함께 시작됐으며,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 오타 아키히로 국토교통상, 시오자키 야스히사 후생노동상, 나카타니 겐 방위상 등 일본의 정·관계 주요 인사 10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장 밖에서는 한국과의 국교 단절 등을 요구하는 일본 우익들의 항의 집회가 열려 일대 교통이 큰 혼잡을 빚기도 했다. 석진환 기자, 도쿄/길윤형 특파원 soulfat@hani.co.kr
일본 학생들·서울 소년소녀합창단
우리말·일본어로 번갈아 합창 주일 한국대사관에선
가야금 장구 등 전통악기 공연
행사장 밖에선 일 우익들 항의집회 식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는 이날 행사 인사말에서 행사장에 설치된 병풍을 소개하며 “50년 전 서울에서 일-한 기본조약 비준서를 교환할 당시 기념으로 제작된 2개의 병풍 중 하나”라고 소개하며 “50년 전 사용된 뒤 하나는 도쿄의 주일한국대사관에, 하나는 주한일본대사관에 기증됐다”며 국교 50주년의 의미를 환기시켰다. 벳쇼 대사의 인사말에 이어 축사에 나선 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와 관련해 “신의보다 의지할 만한 것은 없다는 말처럼 양국 국민들 간 신뢰와 우의를 쌓아나가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대독한 축사에서는 같은 대목을 ‘무신불립’(無信不立)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서청원 한일의원연맹 회장과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등이 박 대통령과 함께 참석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이날 행사 참석을 위해 방한한 누카가 후쿠시로 일한의원연맹 회장을 청와대에서 접견했다. 누카가 회장은 “중요한 이웃 관계인 양국이 앞으로도 손잡고 양국 관계의 가일층 발전을 위해 노력해 나가기를 바란다”는 아베 총리의 메시지를 박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이제는 양국이 서로 간의 입장 차이를 해소하고, 공동의 이해를 확대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양국이 화해와 협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아베 총리가 1965년 이후 일본 역대 내각이 견지해온 인식을 확실히 계승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주일한국대사관 주최로 열린 일본의 기념 리셉션은 도쿄 미나토구 쉐라톤미야코호텔에서 진행됐다. 행사 참석을 전격적으로 결정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연회에서 “오늘 국회에서 결산위원회가 있었지만 한-일 관계를 중시하는 여야 의원들의 협조로 올 수 있었다. 앞으로도 (국회 일정에서) 이런 배려를 부탁드린다”는 농담으로 분위기를 풀었다. 아베 총리는 연설을 마친 뒤 ‘감사합니다’라는 한국말로 마지막 인사도 남겼다. 아베 총리의 연설이 끝난 뒤 윤병세 장관이 박근혜 대통령의 메시지를 대독할 땐 전방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서 양국 정상이 여러 다자회의에서 반갑게 인사를 주고받은 사진 자료가 공개되기도 했다. 아베 총리는 메시지를 낭독하고 박 대통령의 답사를 들은 뒤 행사장을 떠났다. 앞서 이날 행사는 가야금·장구·대금 등 한국 전통악기 공연에 이어 유흥수 주일대사의 개막 인사와 함께 시작됐으며,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 오타 아키히로 국토교통상, 시오자키 야스히사 후생노동상, 나카타니 겐 방위상 등 일본의 정·관계 주요 인사 10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장 밖에서는 한국과의 국교 단절 등을 요구하는 일본 우익들의 항의 집회가 열려 일대 교통이 큰 혼잡을 빚기도 했다. 석진환 기자, 도쿄/길윤형 특파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