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뉴욕/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핵개발을 비롯한 도발을 강행하는 것은 세계와 유엔이 추구하는 인류평화의 가치를 훼손하는 길이 될 것”이라며 “북한은 추가 도발보다 개혁과 개방으로 주민들이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에 10월10일 노동당 창건 70돌을 앞뒤로 장거리 로켓 발사나 4차 핵실험 등의 전략적 도발에 나서지 말 것을 공개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별도의 대북 제안 등 북한 도발을 막고 북핵 문제 등의 진전을 끌어낼 적극적 방법론을 내놓지는 않았다.
박 대통령은 이날 15분간의 한국어 연설에서 먼저 북핵 문제와 관련해, “지난 7월 이란 핵협상이 최종 타결됐는데 이제 마지막 남은 비확산 과제인 북핵 문제 해결에 국제사회의 노력을 집중해야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과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북한이 경제를 개발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남북관계와 관련해 “(남북한 협력) 선순환의 동력은 8·25 합의를 잘 이행해 나가면서 화해와 협력을 위한 구체적 조치를 실천해 나가는 데 있다”며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인도주의 문제가 정치·군사적 이유로 더이상 외면되어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 귀를 기울여 인권 개선에 나설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며 북한이 강하게 반발해온 인권 문제 또한 지난해 유엔총회 연설에 이어 거듭 거론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총회에 이어 유엔본부 신탁통치이사회 회의장에서 열린 ‘평화유지 정상회의’에 참석해 “한국은 분쟁지역의 재건 지원과 인도적 활동을 위해 공병 부대를 (평화유지군으로) 추가로 파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앞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5일 워싱턴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한 뒤 연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추가적인 긴장 고조 행위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손원제 기자,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wonj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