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의원 예산위원회 답변에서
“질문 때마다 답하면 그건 최종 종결된 게 아니다”
임성남 차관, “아베 사과 있을 것”이란 언급과 배치
소녀상, “(한-일 합의는) 이전이라 생각”
“질문 때마다 답하면 그건 최종 종결된 게 아니다”
임성남 차관, “아베 사과 있을 것”이란 언급과 배치
소녀상, “(한-일 합의는) 이전이라 생각”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본인의 입으로 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죄하라는 일본 야당의 요구를 거부했다.
아베 총리는 12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지난달 28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의 발표문에 명기된 사죄와 반성의 문구를 본인 입으로 천명하라는 민주당 오가타 린타로 의원의 요구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사과를 이미) 언급했다”며 거부했다. 아베 총리는 “(한-일) 외교장관 사이에서의 회담도 있었고, 나와 박 대통령 사이에서도 말씀(사죄 언급)을 전했다”며 “그것으로 해결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군 위안부 관련) 질문받을 때마다 답하면(사과하면) 그것은 (군 위안부 문제가) 최종 종결된 것이 아닌 것이 된다”며 “중요한 것은 책임을 지고 (합의 사항을) 실행해 마침표를 찍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는 또 “이번 합의에 대해 국제사회가 높이 평가하고 있다”며 “내가 박 대통령에게 한 발언을 포함해 국제사회가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한일 외교장관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아베 내각총리대신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으로서 다시 한번 위안부로서 많은 고통을 겪고 심신에 걸쳐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은 모든 분들에 대해 마음으로부터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한다”며 아베 총리의 입장을 대독 형식으로 밝힌 바 있다. 아베 총리가 박 대통령에게 전화로 어떤 사과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공개된 바 없다.
이와 관련해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은 지난달 29일 서울 마포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쉼터에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만나 정부 입장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아베가 나와서 사죄해야 한다’는 할머니들의 요구에 대해 “어제(12월28일)는 아베가 안 와서 기시다 외무대신이 아베 총리의 말을 전한 것”이라며 “아베가 어느 시점에 (사과를) 말할지는…. 그럴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아베 총리가 ‘이미 사과는 박 대통령에게 했고, 더 이상의 사과는 없다’고 분명히 언급해 임 차관의 인식과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아베 총리는 또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도 이전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12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소녀상 문제에 대한 민주당 오가타 린타로 의원의 질문에 “이번 합의(지난해 12월28일)로 위안부 문제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된 것’으로 한 만큼 합의를 바탕으로 한국 정부가 적절히 대처할 것으로 인식한다”고 답했다. 아베 총리는 ‘적절한 대처’의 의미를 묻는 후속 질문에 “적절히 대처한다는 것은 (소녀상이) 이전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같은 자리에서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소녀상 이전과 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에 대한 일본 정부의 10억엔(약 100억원) 출연의 선후관계에 대해 “합의 내용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며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 소녀상 관련 한-일 간 합의는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공관의 안녕·위엄의 유 지라는 관점에서 우려하고 있는 점을 인지하고, 한국 정부로서도 가능한 대응 방향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한다”고 되어있다.
디지털뉴스팀, 도쿄/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