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장관 내일 기조연설
1일은 북 리수용 외무상 연설
윤 ‘위안부 합의’도 거론 전망
‘일 강제 없었다 주장’ 반박 주목
1일은 북 리수용 외무상 연설
윤 ‘위안부 합의’도 거론 전망
‘일 강제 없었다 주장’ 반박 주목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북한인권 문제를 놓고 리수용 북한 외무상과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맞붙는다. 12·28 일본군‘위안부’ 문제 관련 한-일 합의도 처음으로 국제무대에서 거론될 전망인데, 윤 장관의 발언 수위가 주목된다.
외교부는 윤 장관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31차 유엔 인권이사회 및 제네바 군축회의 고위급 회기(2월29일~3월2일)에서 3월2일 기조연설을 한다고 29일 밝혔다.
윤 장관의 인권이사회 참석은 2014년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윤 장관은 기조연설에서 북한인권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할 예정이다.
회의에는 리수용 북한 외무상도 참석해 3월1일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리 외무상은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지난 15일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북한의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보고서 내용을 반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장관이 기조연설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언급할지는 아직 검토 중이라고 외교부 당국자가 밝혔다. 지난 1월 일본 정부는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63차 회의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일본군‘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윤 장관은 일본군‘위안부’ 관련 발언의 수위를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는 12·28 합의의 ‘성실한 이행’을 강조하는 한편 일본의 주장에 정면 대응은 피해왔다. 윤 장관이 이번에도 일본에 소극적 태도를 취할 경우, 12·28 합의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윤 장관은 2014년 인권이사회에서는, 한국 외교장관으로는 처음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명시적으로 거론하며 일본에 강력한 공세를 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