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수용 북한 외무상이 1일 스위스 제네바의 유럽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31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제네바/AP 연합뉴스
리수용 외상 고위급회기 연설
“표결에 부쳐지든 말든…
회의들 더는 참가 안해”
제네바 군축회의도 불참키로
“표결에 부쳐지든 말든…
회의들 더는 참가 안해”
제네바 군축회의도 불참키로
북한 리수용 외상이 1일 유엔 인권이사회의 북한 인권문제 논의를 보이콧하겠다고 밝혔다. 4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압력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인권 문제까지 제기되는 것에 대한 반발로 보인다.
리 외상은 이날(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연설에서 “북한의 인권문제를 개별화해 정치적으로 공격하고 압력을 가하는 회의들에 더는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리 외상은 “(북한의) 막강한 핵 억제력과 군사력으로 힘으로는 어쩔 수 없어 (미국 등이) 인권소동에 매달리고 있다”며 “그런 결의 아닌 결의가 구태여 표결에 부쳐지든 말든 개의치 않을 것이며 또 그런 것에 절대로 구애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2003년 이후 매년 북한인권 결의안을 채택했으며, 유엔 총회는 2005년부터 북한의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해 왔다.
리 외상은 “그들이 북한을 공격하는 유일한 증거는 탈북자의 진술뿐이며, 한 사람 당 5천달러 또는 그 이상을 들여 유괴, 납치해 끌고 간 것이 탈북자”라며 “여기에 드는 비용은 미국의 북조선인권법에 따른 자금, 일본·남조선 당국이 대주는 돈 등으로 충당된다”고 주장했다. 리 외상은 또 지난해 참석했던 제네바 군축회의에도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대해 윤병세 외교장관은 2일 유엔 인권이사회 사흘째 고위급 회기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의 반인도적 인권 실태를 비판하고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안의 충실한 이행을 촉구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