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12·28 합의 7개월 만에
일 언론들 “27일 발족”
정부는 “발족일 아직 확정 안 돼”
초대 이사장에 김태현 명예교수
일 언론들 “27일 발족”
정부는 “발족일 아직 확정 안 돼”
초대 이사장에 김태현 명예교수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한 한국·일본 정부의 12·28 합의 이행을 위한 ‘화해·치유 재단’(재단)을 다음주중 발족시킬 방침이다. 12·28 합의 뒤 7개월 만이다. 재단이 발족하면 12·28 합의 이행 여부를 둘러싼 찬반 논쟁이 다시 격화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20일 “재단을 다음주중 출범시키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일본 <아사히신문>과 <도쿄신문>은 복수의 한국 정부 관계자의 말을 따서 재단이 27일 정식 발족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정식 발족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재단 초대 이사장은 재단 준비위원장인 김태현 성신여대 명예교수가 맡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 정부는 12·28 합의를 통해 한국 정부가 재단을 세우면 일본 정부가 예산 10억엔을 한번에 출연하고, 한·일 정부가 협력해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존엄 회복과 마음의 상처 치유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재단 사업과 관련해 <아사히신문>은 “피해 당사자와 유족한테 일정 금액 지급, 위안부 문제를 후세에 알리는 사업, 이미 고인이 된 위안부 피해자 추모 사업 등이 발표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재단 발족 뒤 사업 진행과 관련해 예상되는 쟁점은 두 가지다. 첫째, 일본 정부가 10억엔 출연을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이전 요구와 연계하느냐다. 둘째, 10억엔을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에 쓰느냐다. 두 쟁점을 두고 한-일 양국 정부의 물밑 줄다리기가 치열할 전망이다. 이와 별도로 김복동(95)·길원옥(89) 할머니 등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12·28 합의의 무효화를 요구하며 시민 중심의 ‘재단법인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 발족(6월9일)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정의로운 문제 해결”을 다짐하고 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