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한·러 외교장관 전화 협의
북 5차 핵실험 대응 방향 엇갈려
유엔 안보리 차원 대응 공감 속
‘제재 강화’ 와 ‘대화 협상 복귀’로 방향 달라
왕이는 ‘사드 반대’ 거듭 강조
북 5차 핵실험 대응 방향 엇갈려
유엔 안보리 차원 대응 공감 속
‘제재 강화’ 와 ‘대화 협상 복귀’로 방향 달라
왕이는 ‘사드 반대’ 거듭 강조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2일 밤 왕이 중국 외교부장,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과 전화 협의를 통해 북한의 5차 핵실험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차원에서 대응한다는 데 공감하고 한·중, 한·러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를 조만간 하기로 했다고 14일 외교부가 밝혔다.
그러나 안보리 차원의 대응이라는 원론적 공감을 빼면 ‘제재 강화’를 주장하는 한국과 ‘대화와 협상 재개’를 강조하는 중·러 사이에 접근법의 차이가 크다.
더구나 왕 부장은 윤 장관과 통화에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주한미군 배치’에 반대한다는 중국 정부의 견해를 거듭 강조했다.
한국 외교부는 왕 부장이 윤 장관과 통화에서 “북한의 5차 핵실험은 안보리 결의의 위반이자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훼손하는 것으로서, 새로운 안보리 제재 결의를 채택해 북한에 더욱 엄격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막아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고 했다. 왕 부장은 중국이 관련 안보리 결의를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준수하는 등 의무를 이행할 것이며,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반대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언급했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가 누리집에 공개한 통화 내용은 어감이 크게 다르다. 왕 부장은 윤 장관과 전화 통화에서 “중국은 이미 조선 핵실험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다. 중국은 유엔 안보리가 조선 핵실험에 필요한 반응을 하는데 동의하며, 동시에 각국에 냉정과 억제를, 그리고 형세 긴장을 한층 고조시키는 행동을 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 (한)반도 핵문제의 해결의 최종은, 어떻든 대화와 담판의 궤도로 돌아오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안보리 차원의 대응에 공감한다는 점에서는 한국 외교부 발표와 같으나, ‘형세 긴장 고조 행동 자제’ “대화와 담판 궤도로 복귀”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대응의 방향이 전혀 다르다.
더구나 사드 문제를 두고는 한국 외교부가 “북핵 관련 협의 후 윤 장관과 왕이 부장은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 양쪽의 기본 입장을 간략히 교환하고, 이와 관련된 소통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공개한 반면, 중국 외교부 “왕이 부장은 중국이 미국의 사드 한국 배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천명했으며, 한국엔 중국의 관심을 존중하고 반드시 신중하게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한-러 외교장관의 전화 협의 결과와 관련한 양국 외교부의 공개 내용도 강조점이 사뭇 달랐다.
한국 외교부는 라브로프 장관이 윤 장관과 통화에서 “러시아가 안보리 신규 결의안 채택 논의에 적극 참여할 것임을 확인했다”며 “라브로프 장관은 다양한 외교적 해결 노력을 계속 경주해 나가자고 했다”고 전했다.
반면 러시아 외무부는 전화 협의 뒤 발표한 보도문에서 “양쪽이 유엔 안보리의 결의를 훼손한 북한의 위험한 행동에 공통된 우려를 표시했다”고 전제한 뒤, “러시아는 한반도 핵문제를 정치·외교적으로 해결하는 것 외에 대안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비대칭적 군사 활동 강화를 자제하고 협상을 재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북핵 문제 해법 모색을 위한 6자회담의 재개를 촉구하는 한편, 북한 5차 핵실험에 대응한 미국의 전략자산 한반도 전개 및 한·미 연합군사훈련에 반대한다는 뜻이다.
이제훈 기자,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