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 1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부산 소녀상’과 관련해 “상황악화를 가져올 수 있는 언행은 자제하라”고 말한 것이 일본 언론에 빌미를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강은지 국제민주연대 팀장은 12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2015년 12월28일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일본 쪽 언론의 시각과 다른 나라 외신의 시각이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며 “<닛케이 아시안 리뷰>같은 경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자제를 요청했다는 내용만 강조해서 소개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팀장은 “일본 언론들은 ‘위안부’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위안부에 대해서 설명을 할 때도 일본에서 전시에 사창가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았던 여성과 소녀들이라든가, 2차대전 전후에 성을 제공하도록 강요된 여성과 소녀들, 이런 정도로 유화적인 표현을 하고 있는 반면 미국 언론이나 다른 외신에선 ‘전시 성노예’라는 표현을 쓴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또 다른 나라 외신에서는 2015년 합의에 대해 한국에서는 어떤 비판을 받았고 일본에서는 어떤 시각이 있는지 균형있게 소개하는데, 일본 언론들은 하나같이 부산 영사관 앞에 소녀상 설치한 게 2015년 합의 위반이다, 그것만 성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팀장은 “영국 <가디언>이나 AP통신 같은 데는 일본군 성노예에 관한 갈등이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식민지의 유산이라고 진단하고 있고 2015년 합의에 대해 생존 피해자들과의 합의를 거치지 않고 발표되었기 때문에 두 나라의 정서적 갈등을 봉합하기에는 한참 부족하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며 “<도이치벨레>는 박근혜 대통령이 받고 있는 비판 중 하나가 바로 이 합의를 체결하면서 위안부 피해자들을 배신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반면 <요미우리신문> 영문판은 부산 영사관 앞 소녀상이 기념비적 합의의 정신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고, <닛케이 아시안 리뷰> 같은 경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자제를 요청했다라는 내용만 강조해서 소개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상황 악화를 가져올 수 있는 언행은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황 권한대행의 발언은, 부산 소녀상 설치에 항의해 일본 정부가 취한 보복·대응 조처 이후 한국 정부의 고위 관계자로는 첫 실명 견해 표명이었다. (
▶관련 기사 : 황교안 “위안부 관련 언행 자제”…야 “사죄 커녕 재갈 물리나”)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