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 광저우 청사의 옛 모습. 외교부 제공
임시정부 광저우 청사의 현재 모습. 외교부 제공
이미 파괴됐다고 알려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저우 청사 건물이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부는 28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38년 7월22일~9월19일 중국 광저우에서 사용한 청사 위치와 그 곳에 남아 있는 건물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광저우 청사는 임시정부가 1938년 본격화한 중-일전쟁을 피해 후난성 챵샤에서 옮겨 자리를 잡은 곳이다. <백범일지> 등에는 ‘동산백원’으로 기록돼 있는데, 그동안 이 청사 건물은 멸실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외교부는 주광저우 총영사관이 각종 사료와 문헌 자료를 광저우시 문화국에 주고 현재 위치 확인을 요청해, 지난해 1월말 해당 위치에 건물이 현존하고 있다는 답을 받았다고 밝혔다. 동산백원이 있었다는 옛 주소 ‘휼고원로 35호’는 현재 ‘휼고원로 12호’로 바뀌어 있었다. 총영사관과 시당국은 공동조사에 나서 1920~30년대 광저우시 옛 지도를 비롯해, 동산백원 건물을 1928년 10월에서 1929년 6월까지 사용한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한테서 확보한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해당 건물이 옛 임시정부 청사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이어 독립기념관 국외사적지팀의 검증작업을 거쳐 지난해 9월 광저우 청사 보고서가 완료됐고, 지난해 12월 보훈처 등 유관기관이 현장 답사도 실시했다.
1919년 4월 상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5년 11월 귀국 때까지 27년 동안 항저우·젼장·챵샤·광저우·포샨·류저우·충칭 등을 옮겨다니며 활동했다. 지금은 상하이·항저우·충칭 청사 등이 남아 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